진보진영의 위기감 "이대로 가면 확실히 진다"
조갑제닷컴 2021.11.17
https://www.chogabje.com/board/view.asp?C_IDX=92957&C_CC=BI
어제 오마이뉴스 인터넷판에 <이대로면 패배 확실한 이재명, 반전 위한 세 가지((장경환)>란 분석 기사가 올랐다.
기사는, 11월5일 국민의힘 전당 대회 이후 윤석열 후보의 우위가 지속되고 있다면서 흐름이 심상치 않다고 했다. ARS 방법을 활용한 조사에서는 이재명-윤석열 지지율 격차가 벌어지고, 전화면접 방법을 활용한 조사에서는 격차가 다소 줄어든다는 것이 특징이지만 윤석열 지지가 대세화되고 있다는 평가였다.
PNR과 KSOI의 이번 주 조사결과에서는 컨벤션 효과가 강했다고 평가받던 전주에 비해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는 모습이라고 했다. 이 기사는 이재명의 위기를 다각적으로 분석했다. 먼저, 이재명의 비호감도가 급격히 상승했다는 점을 들었다. 올 상반기만 해도 이재명은 윤석열, 홍준표 등 타 후보들에 비해 유일하게 호감이 비호감보다 높은 후보였었다. 지난 8월 조사에서도 비호감도가 다소 증가하긴 했지만 타 후보들에 비해서는 상당한 격차를 두고 낮은 상태를 유지했지만 10월말 조사에서는 호감-비호감도가 경쟁 후보였던 윤석열, 홍준표와 비슷한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것이다.
위기의 둘째 요인은, 민주당의 주력 지지층인 4050을 '2030과 60대 이상'을 규합해 포위하겠다는 이준석 대표의 말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7~8일 실시된 리얼미터 조사결과에 따르면 이재명은 40대·50대 남성과 30대·40대 여성을 제외한 모든 계층에서 윤석열에 밀리는 모습이다.
셋째, 정권교체 여론이 점차 확대되는 점이 불길하다고 했다. 최근 여론조사 결과들을 종합해서 보면 정권 재창출에 대한 지지율은 30%대 초반이고 정권교체 여론은 50%대 후반에 달한다. 이런 경향은 지난 연말부터 계속됐다. 한국갤럽의 조사결과를 보면 2020년 12월 1주 조사에서 '정권유지'와 '정권교체' 응답이 역전된 이후 계속 '정권교체' 응답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했다. '정권유지-정권교체'의 격차가 가장 컸던 것은 4월 재보선 직후(21%p)와 최근 국민의힘 대선후보 선출 직전(24%p)이다.
이 기사는 <이재명-민주당, 반전도 쉽지 않다>고 했다. 4월 재보선 당시만 해도 국민의힘의 재보선 승리는 정부여당의 무능과 오만에 대한 심판일 뿐, 국민의힘에 대한 신뢰와 기대감 상승으로 보기 어려웠고 불과 반년 전만 해도 국민의힘은 '식상한 과거세력, 꼰대' 이미지가 강했었다.
이제는 야당의 그런 이미지는 점차 사라져가고 있다는 것이다. 문재인 정부에 대한 반감이 커졌고, 정당지지율이 역전되면서 국민의힘 쇄신이 나름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도 해볼 수 있다고 했다. 특히 윤석열의 경우 후보자질에 대한 평가와는 별개로, 정치 신인 이지미 등 야당의 기존 '구태' 이미지가 희석되는 효과가 있었다는 것이다.
이 기사는 당분간 윤석열의 우위는 지속될 것이라고 봤다. 이 기사 필자는, 컨벤션 효과의 덕도 물론 있겠지만 근본적으로는 '이재명-민주당'의 경쟁력 약화, '윤석열-국민의힘'의 문제점 희석이 주된 원인이라고 본다. 윤석열의 실언은 이제 익숙해진 탓인지 지지율에 별 영향이 없고, 본부장(본인·부인·장모) 문제 역시 심각하긴 하나 윤석열에 대한 계속지지 의향 여론이 70~80% 수준으로 나타나는 상황에서 판단을 바꿀 정도의 사안으로 보지 않는 듯한 분위기라고 진단했다.
이제 국민의힘 측은 리스크 관리를 위해 윤석열의 입은 최대한 봉인할 것이고, 페이스북을 통해 정제된 메시지를 하루에 1~2개 정도 발표할 것이라고 보았다. 토론은 최대한 피하면서 대선후보 토론회에서는 최대한 방어적으로 임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가족들이 언론에 드러나지 않도록 관리할 것이고 구체적인 정책과 비전을 말하기보다 문재인 정부의 실정을 국민들에게 상기시킬 것이다.
그래서 이재명-민주당 측에서는 반전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했다. 기자는 반전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최소한 세 가지는 챙겨야 한다고 제안한다.
첫째, 위기의식을 가져야 한다. 지금 여당은 정부여당에 대한 반감이 나날이 강해지고 있음에도 위기의식이 없는 듯 보인다. 그동안 민주당은 부동산 등 현 정부에 대한 부정적 평가로 정권교체 욕구가 큰데도 ▲ 야당이 대안이 될 수 없다는 점 ▲ 이재명이 문 정부에 대한 귀책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다는 점 ▲ 이재명의 정책 등 상품성에 대한 기대감 ▲ 이재명의 인물경쟁력 측면에서 상대 후보를 압도한다는 점 등으로 국민의힘이 불리하다는 판단을 내려왔었다.
이런 인식은 민주당이 현재 상황의 심각성을 전혀 인지하지 못함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이러한 판단들이 만성화되어 정부여당에 대한 반감이 극심함에도 위기로 인식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둘째, 대장동 사건을 털어버려야 한다고 제안했다. 민주당 측은 국민의힘 게이트임을 여러 가지 증거를 가지고 논리적으로 강조, 부각시켰으나 결과적으로 국민 인식은 이재명 책임론이 훨씬 더 높게 형성돼 있고 이른바 고발사주 논란에 대한 윤석열의 책임보다 더 높은 수준이기도 하다고 했다. 대장동의 늪에서 빠져나가는 방법은, 설명하지 말고 반박하지 말아야 한다고 했다. 코끼리를 보지 말라고 언급할 수록 코끼리만 생각하게 될 뿐이란 것이다.
셋째, 무리수 정책과 실언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했다. 이재명은 트레이드 마크였던 '보편복지·기본소득'을 계속해서 주장하지만 국민들은 등을 돌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 여름 재난지원금이 지급될 때만 해도 전국민 재난지원금에 대한 찬성 여론은 50%에 달했다. 하지만, 최근 진행된 조사들에 의하면 찬성 여론은 30% 수준이다.
정책도 정책이지만 실언은 더 큰 문제라고 지적한다. 과거 '1일 1실언'으로 비판받았던 윤석열의 행동을 그대로 답습해 민주당 버전의 '1일 1실언'이 펼쳐지는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2)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 "북한, CVID 의무…강력히 제재해야" (0) | 2021.11.17 |
---|---|
◆◆[세뇌탈출] 21세기의 선택! 글로벌리즘이냐, 공화국이냐 ◆◆ (0) | 2021.11.17 |
문재인 꽃놀이패 VS 윤석열 대세론 (0) | 2021.11.17 |
■■[박대석 칼럼] 정권교체는 목표일 뿐, 목적은 아니다...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변곡점 넘어 대세 굳히기, 격차는 더 벌어질 것!■■ (0) | 2021.11.17 |
[주가조작 사건] 도이치모터스 권오수 회장 구속...윤석열 아내 김건희 수사로 확대 가능성 (0) | 2021.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