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日 가장 혐오' 통념 깨진다… 2030세대 "中이 더 싫다"
한국일보 2021.06.14 조영빈 기자
https://n.news.naver.com/article/469/0000610800
[대선 D-9개월, 세대를 본다]© 제공: 한국일보
.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7년 12월 14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베이징=연합뉴스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일본은 한국 현대사 내내 우리 국민이 가장 큰 반감을 가진 나라였다. 하지만 젊은 세대로 갈수록 중국을 꺼리는 ‘반중(反中) 정서’가 ‘반일 감정’을 압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변국에 대한 호감도 기준으로 역사문제 등 전통적 안보 인식보다 미세먼지, 감염병 등 당면한 민생 위협을 더 중시하는 ‘2030 세대’의 가치관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일보ㆍ한국리서치의 여론조사(지난달 25~27일 실시) 결과, ‘북한, 중국, 일본, 미국 등 4개 국가에 대한 감정을 0~100도(높을수록 긍정적)로 표현해 달라’는 호감도를 묻는 질문에 미국은 평균 56.3도를 기록, 북한(29.5도)ㆍ중국(27.5도)ㆍ일본(26.7도)을 제치고 단연 1위를 차지했다.
다만 세대별 응답을 들여다보면 미묘한 차이가 감지된다. 40ㆍ50ㆍ60대 이상의 대일 호감도는 각각 21.7도 26.8도 29도로, 대중 호감도(27.1도 32.8도 34.6도)보다 다소 낮았다. 일본이 여전히 더 싫다는 얘기다. 20ㆍ30대는 달랐다. 20대의 주변국 호감도는 미국(56.1도) 일본(30.8도) 북한(25.3도) 중국(17.1도), 30대는 미국(55.6도) 북한(25.3도) 일본(23.9도) 중국(20.3도) 순으로 조사돼 일본과 중국의 순위가 뒤바뀌었다. 반중 정서가 젊은층의 안보관을 규정하는 핵심 요인으로 부상한 것이다.
.
© 제공: 한국일보20대 "북한보다 中이 한국에 위협"
중국을 향한 반감의 농도도 2030세대에서 더욱 짙었다. ‘매우 부정적(25도 이하)’이란 응답률을 기준으로 ‘그렇다’는 답변은 40ㆍ50ㆍ60대 이상에서 각각 48.9%, 37%, 32.9%인 반면, 20ㆍ30대에선 각각 68.6%, 61.8%로 나타나 청년층 10명 중 6명꼴로 중국에 대한 거부감이 심했다.
젊은층의 대중(對中) 인식 변화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결정적 원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중국이 코로나19 발원국으로 지목되면서 이미지가 급격히 나빠졌다. 정한울 한국리서치 전문위원은 “중ㆍ장년층이 느끼는 안보 위협이 ‘군사적’ 분야에 초점이 맞춰졌다면, 젊은 세대는 미세먼지나 감염병 같은 비전통적 안보 이슈에 더 민감하다는 방증”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최근 김치ㆍ한복 종주국 논란 등을 둘러싸고 양국 젊은이들 사이에 불붙은 감정 싸움도 2030세대의 중국 혐오를 키우는 데 한몫했다.
.
© 제공: 한국일보"쿼드 동참 61%" "일대일로 참여 35.6%"
‘어떤 나라가 한국에 위협이 되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변도 비슷했다. 중국을 최대 위협 국가로 꼽은 20ㆍ30대는 각각 43.7%, 36.4%로 40대(25.5%)ㆍ50대(26.5%)ㆍ60대 이상(20.1%) 등 중ㆍ장년층 응답률을 크게 웃돌았다. 심지어 20대는 북한(35.6%)보다도 중국을 훨씬 경계했다.
미중 양국이 각각 주도하는 다자협의체 ‘쿼드(Quad)’와 ‘일대일로’를 놓고도 마찬가지였다. 쿼드 동참을 옹호한 비율은 평균 61.6%로 압도적이었는데, 세대별로도 20대(53.1%) 30대(56.3%) 40대(57.1%) 50대(63%) 60대 이상(71.7%) 등 고르게 지지했다. 이에 반해 ‘일대일로에 참여해야 한다’는 의견은 쿼드의 절반 수준인 35.6%에 그쳤다. 세대별 답변을 봐도 20대(22%) 30대(27.9%) 40대(33.6%) 50대(45.9%) 60대 이상(42.6%)으로 조사돼 2030세대의 대중 거리감이 역시 두드러졌다.
조사 방법
이번 조사는 한국일보 의뢰로 한국리서치가 웹조사(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 등을 통한 URL 발송) 방식으로 실시했다. 총 256개 문항을 설계해 △국정 인식 △공정 △안보 △젠더 등 폭넓은 주제들을 다양한 가설을 통해 검증했다. 세대론이 글로벌 이슈로 부상한 만큼, 세대 간 차이 및 세대 내 이질성을 집중 분석했다. 이번 조사처럼 방대한 문항을 묻는 데는 전화조사나 면접 조사에 한계가 있어 웹조사 방식을 활용했다. ①다양한 계층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이메일·문자·카카오톡·자체 개발 앱으로 설문을 발송했고 ②중복 응답을 막기 위해 1인당 조사 참여 횟수를 제한했으며 ③불성실한 응답을 차단하기 위한 모니터링 등을 실시했다. 한국리서치 웹조사 담당 연구진이 조사 전반을 관리해 품질을 높였다. 국승민 미국 오클라호마대 교수와 정한울 한국리서치 전문위원이 조사 설계와 분석에 참여했다. 조사 기간은 5월 25~27일, 대상은 전국 만 18세 성인 남녀 3,000명이고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1.8%포인트다. 2021년 4월 정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지역·성·연령별 가중치를 부여했다. 응답률은 14.7%(2만366명 접촉, 3,000명 응답)이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2)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쑈? 문재인은 30%의 대깨문이 건재하는한 정권연장도 가능하고 퇴임후도 안전하다고 믿는다 (0) | 2021.06.14 |
---|---|
국민의힘 첫 의원총회서 '반문(反文) 빅텐트론' 띄운 당대표 이준석···대선 준비 시동 (0) | 2021.06.14 |
차기 대선 9개월을 앞두고 전략적 사고가 요구되는 이준석 국민의힘 체제의 향후 5개월 (0) | 2021.06.14 |
[한국·호주·인도 정상 ‘특별초청국’ 자격으로 참여] G7, 공동선언문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북한의 불법 WMD 및 탄도미사일 폐기 촉구” (0) | 2021.06.14 |
■■[한국·호주·인도 정상 ‘특별초청국’ 자격으로 참여] G7, 천안문 사태 이후 중국을 가장 세게 때렸다 “중국, 인권과 기본적인 자유 존중해야”■ (0) | 2021.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