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구글과 애플이 스마트폰과 PC의 개인정보 및 위치정보를 와이파이 망을 통해 수집한 사실이 알려지고, 가짜 무선공유기(AP)를 통한 개인정보 유출 될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한데요,
방송통신위원회는 무선랜(Wi-Fi) 접속시 이용자들의 철저한 주의를 당부하고 있습니다.
지난 3월 스마트폰 가입자가 천만명을 넘어서며 많은 국민들이 공중장소에서 개방된 무선랜(Wi-Fi) 또는 가정에 설치한 무선공유기(AP)를 통해 무선데이터를 주고받고 있는데요,
하지만 많은 이용자들이 암호화되지 않은 무선랜에서 개인의 정보가 노출되거나 탈취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지 못하고 무분별하게 이용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에 대해 보다 쉽고 정확하게 알고 사용할 수 있도록 작년부터 다양한 매체(TV, 포털, 잡지, 반상회보, 대중교통 등)를 이용하여 무선랜 보안의 중요성, 보안설정 방법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계도·홍보해 왔습니다.
특히 지난해 10월에는 '알기쉬운 무선랜 보안안내서', '편리한 무선랜 안전하게 이용하세요' 등의 홍보자료(별첨1, 2)를 전국적으로 배포하였는데, 그 내용으로 ▲무선랜 서비스 개념 ▲무선랜 보안의 필요성 ▲무선랜 안전 이용 수칙 ▲무선랜 보안설정 방법 등이 담겨 있습니다.
몇가지 살펴볼까요?
제공자가 불명확한 무선랜은 이용하지 않고, 무선랜 이용자 자신이 직접 암호를 설정하여 이용하는 사설 무선공유기나 KT, SKT, LG U+ 등이 제공하는 암호화 및 인증 기능이 강화된 보안AP(자물쇠 표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한 개방된 곳에서의 무선랜 이용시 중요 개인정보의 입력은 자제하고, 보안인증서에 문제가 발생한다는 메시지를 보면 해당 사이트에 접속을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스마트 단말 등을 이용한 금융거래처럼 중요 정보가 송수신될 경우에는 3G 통신망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안전합니다.
안전한 무선랜 이용 7대 수칙
1. 무선공유기 사용시 보안기능 설정하기 2. 무선공유기 패스워드 안전하게 관리하기 3. 사용하지 않는 무선공유기는 꺼놓기 4. 제공자가 불명확한 무선랜 이용하지 않기 5. 보안설정 없는 무선랜으로 민감한 서비스 이용하지 않기 6. 무선랜 자동접속 기능 사용하지 않기 7. 무선공유기의 SSID를 변경하고 숨김 기능 설정하기
|
한편, 방통위는 주요 이통사들과 함께 무선랜 보안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SKT, KT, LG U+ 등과 함께 데이터 암호화 기능 및 보안이 강화된 인증방식(802.1x 상호인증)이 적용된 무선공유기(AP)의 보급을 확대하고,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무선랜 이용에 따른 위협 가능성 및 대응방안을 쉽게 알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계도·홍보합니다.
보안인증서 경고창
그리고, 이통사들이 보유하는 무선랜 구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용자가 무선랜 접속시 신뢰할 수 있는 연결인지 여부를 검사 후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등도 검토하기로 하였습니다.
나아가 방통위는 인터넷 접속시에 중요 정보의 송수신이 예상되나 암호화가 부족한 포탈, 전자상거래 사이트 등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암호화 기법을 적용하도록 권고할 계획입니다. 또한 방통위와 KISA는 6월부터 3개월간 공중 무선랜 및 사설 무설랜의 보안 현황을 전국적으로 조사·점검한 후 취약점을 발굴하여 관련 사업자들과 함께 적극 개선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무선랜 보안설정 관련 상세정보 및 기타 문의는 국번없이 정보보호 관련 무료 상담전화 ‘☎118'로 연락하거나 한국인터넷진흥원 보호나라 홈페이지(www.118.or.kr)를 이용하면 됩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케이블텔레콤, 7월 SKT 통해 MVNO 개시 (0) | 2011.05.06 |
---|---|
몬티스타텔레콤 등, 요금 20% 이상 싼 '저가 移通(MVNO)' 7월 등장 (0) | 2011.05.06 |
20대 CEO가 보여주는 바이럴마케팅, 모바일홈페이지 성공비법 (0) | 2011.05.04 |
아이패드2 물량부족… 소비자‘분통’ (0) | 2011.05.04 |
‘갤럭시S2’ vs ‘아이폰5’ 맞붙었다면...승자는? (0) | 2011.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