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소득 도입, 찬성 48.6% vs 반대 42.8% 오차 내 팽팽
뉴시스 2020.06.05 정진형 기자
n.news.naver.com/article/003/0009902338
'여권 지지' 찬성 60%…'통합당 지지' 반대 70%
진보·2060 찬성 우세 중도층·30~50대 찬반 비등
기본소득제 도입 관련 리얼미터 현안 여론조사 그래픽 = 리얼미터 제공(2020.6.8)[
전 국민에게 최소 생활비를 지급하는 기본소득 제도 도입에 대해 찬반 양론이 팽팽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따르면, YTN '더뉴스' 의뢰로 기본소득제 도입 찬반을 물은 결과 '최소한의 생계 보장을 위해 찬성한다'는 응답이 48.6%, '국가 재정에 부담이 되고 세금이 늘어 반대한다'는 응답이 42.8%로 조사됐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8.6%였다.
권역별로는 찬성 응답은 경기·인천(57.0%)과 광주·전라(48.7%)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세종·충청(찬성 48.3% vs 반대 45.9%)과 대구·경북(48.1% vs 40.5%), 서울(42.1% vs 50.7%), 부산·울산·경남(40.3% vs 47.3%)에서는 팽팽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지 정당별로는 열린민주당(66.2%) 지지층과 민주당(65%) 지지층, 정의당(63.3%)에서 '찬성' 응답이 60%대로 나타났지만 미래통합당(70.8%)과 무당층에서는 '반대' 응답이 많았다.중도층에서는 '찬성' 48.7% 대 '반대' 42.3%로 두 응답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에서 도입 찬성 의견이 많았지만(찬성 63.4% vs. 반대 30.8%), 보수층에서는 도입 반대가 많았다(31.2% vs. 67.0%). 중도층에서는 찬성(48.7%)과 반대(42.3%)가 팽팽하게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도입 찬성'이 20대와 60대에서 50%대 비율을 보였지만, 70세 이상에서는 54.0%가 '도입 반대' 의견에 공감했다. 50대(찬성 49.5% vs 반대 44.5%)와 40대(49.2% vs 40.8%), 30대(46.3% vs 47.4%)에서는 두 응답이 비율이 비등했다.
직업별로도 의견이 갈렸는데 학생과 노동직에서는 찬성 응답이 많았지만, 가정주부는 반대 응답이 많았다. 사무직과 자영업에서는 두 의견에 대한 응답이 팽팽하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 5일 전국 만18세 이상 성인 1만881명에게 접촉해 최종 500명이 응답(응답률 4.6%)했다. 무선(80%)·유선(20%) 자동응답, 무선전화(80%)와 유선전화(20%) 병행 무작위생성 표집 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포인트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론]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왜 융합적 사유인가 (0) | 2021.10.06 |
---|---|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자유주의자가 왜 좌파의 기본소득에 찬성하는가? (0) | 2021.04.13 |
코로나19 이후 '공유경제'는? (0) | 2020.04.04 |
[고려대·공유경제협회 세미나] 공유경제 출발 늦은 한국, 조합형 모델로 추격 나서야 (0) | 2019.05.16 |
구독경제와 공유경제는 무엇이 다른가? (0) | 2019.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