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스크랩] ??스마트폰 가입자 1,000만 시대 도래했네

배셰태 2011. 3. 24. 14:42
 

 

스마트폰 가입자가 천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2007년부터 스마트폰 도입이 활성화됐던 미국, 유럽 등 해외에 비해 국내는 스마트폰 보급이 매우 미미한 수준에 불과했는데요, 2008년 12월 무선인터넷 표준 플랫폼인 위피 탑재 의무 폐지 등 규제 완화 이후 2009년 11월 아이폰이 국내 출시한 것을 계기로 스마트폰이 본격 확산되기 시작했죠.

 

 

 

2009년 말 80만 명에 불과했던 스마트폰 가입자수가 금년 3월을 기점으로 천만 명을 돌파할 정도로 단기간에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증가세가 지속되어 올 연말에는 스마트폰 가입자가 2천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본격적인 스마트폰 대중화 시대에 진입한 것인데요,

 

※ 스마트폰 가입자 증가 추이
: (’09년12월) 80만명→(’10.6월) 247만명→(’10.12월) 722만명→(’11.2월) 926만명→(’11.3.23) 1,002만명

 

주로 어느 연령대가 많이 사용하고 어떤 요금제를 사용할까요? 스마트폰 가입자 중 20~30대 가입자 비율이 60% 이상을 차지, 일반폰의 20~30대 비중(30%)에 비해 매우 높은 편이다. 스마트폰 가입자의 84%가 스마트폰용 정액 요금제에 가입했으며 5만 5천원 이상의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가입 비율이 5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무선 인터넷 사용 증가로 데이터 트래픽이 ’10년 1월 449TB에서 ’11년 1월 5,463TB로 11배 이상 증가 하였으며, WiFi 사용량도 크게 증가하여 이동전화에서 발생하는 전체 트래픽의 1/3(2,785TB)을 WiFi로 분산하고 있습니다.


2010년 국내에서 총 45종의 스마트폰이 출시되었으며 안드로이드 OS를 탑재한 스마트폰이 전체 가입자의 60%, 아이폰 OS가 2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다각적인 통신 요금 인하 노력에 따라 통신 요금 수준은 감소하고 있으나, 스마트폰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 이용으로 무선 데이터 등 통신 이용량이 급증하여 통신비 지출이 확대된 것도 사실이다. 방통위는 본격적인 스마트폰 대중화 시대에 맞춰 스마트폰 요금제 개선과 보급형 스마트폰 출시 확대를 유도하는 등 이용자 부담 경감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데이터 트래픽 급증에 대비하여 네트워크 고도화 및 트래픽 분산을 유도하는 등 서비스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하고, 이통사-콘텐츠사업자(CP)간 공동협력사업 추진 등 모바일 콘텐츠 분야 투자를 확대하고 상생협력 기반이 조성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계획입니다.

 

 

출처 : 두루누리의 행복한 상상
글쓴이 : 방송통신위원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