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유의 시대'…LG·삼성도 넘본다
아시아경제 2019.04.14 박소연 기자
기존 중견·중소기업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렌털시장에 삼성 LG 등 가전 대기업들이 눈독을 들이고 있다. 1인가구 증가와 가전의 고급화로 인한 가격상승, 소유개념의 변화 등으로 인해 가전 렌털 시장의 규모가 급격히 커지면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가 지난해 생활가전 렌털(임대) 사업으로 3000억원에 가까운 수익을 거둬들이는 등 가전 렌털시장이 커지면서 삼성전자도 렌털시장 진출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삼성보다 먼저 렌털시장에 뛰어든 LG전자는 2009년 정수기로 첫 진입해 현재 공기청정기, 정수기, 건조기, 전기레인지, 의류관리기, 안마의자, 얼음정수기 등 총 7가지 제품에 대해 렌털 비즈니스를 하고 있다.
<중략>
경쟁사인 삼성전자도 렌털시장 진출을 검토 중이다. '소유'에서 '임대'로 바뀌는 시장 패러다임의 큰 변화에 중장기적으로 대비한다는 차원에서다.
최근 공기청정기, 건조기, 전기레인지, 의류관리기 등 고가의 신(新)가전의 등장으로 고가의 제품을 덥석 사기보단 빌려쓰겠단 소비자가 늘어나는 것도 삼성이 B2C 가전 렌탈시장 진출을 검토하는 주된 이유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1인 가구 증가와 사후관리가 필요한 가전을 중심으로 렌털시장이 커지고 있다"면서 "중장기적으로는 가전도 구매 보다 임대 쪽의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라 지금 당장은 아니지만 향후 렌털사업을 검토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이하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수 변호사, 폐업 의사···잘나가던 '사'자의 추락 (0) | 2019.04.22 |
---|---|
앞으로 10년 이내에 모든 대학의 절반이 사라지고 성공을 위한 새로운 모델이 등장한다 (0) | 2019.04.20 |
[큐레이션] 신문부터 요트까지…커지는 '구독경제' 시장 (0) | 2019.04.14 |
4차 산업혁명시대, 사람에 대한 투자해야...AI가 대체할 일자리 문제 (0) | 2019.04.14 |
[경기도의 청년기본소득제] 청년배당, 미래에 대한 투자로 봐야 (0) | 2019.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