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상 가장 큰 미디어 재편기에 서 있다”
한국기자협회 2018.06.20 손재권 매일경제 기자
http://m.journalist.or.kr/m/m_article.html?no=44329
[글로벌 리포트 | 미국] 손재권 매일경제 실리콘밸리 특파원
2018년 러시아 월드컵이 뜨겁게 진행 중이다. 한국에서는 지상파 3사의 중계를 IPTV, 케이블TV나 인터넷 포털을 통해 시청하는 시청자가 대부분일 것이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상황이 다르다. 집에서 유료방송(케이블TV, IPTV)을 끊는 시청자(일명 코드 커터)가 늘어나면서 필요한 방송만 골라서 보는 유튜브TV, 슬링TV 등 묶음 채널(스키니 번들) 서비스 시청자도 제법 많아졌다.
잘 안보는 100~200개 채널 대신에 꼭 필요한 채널만 담은 ‘스키니 번들(skinny bundles)'은 슬링TV가 시장을 개척한 후 구글 유튜브TV가 본격 뛰어들면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넷플릭스는 모바일 스트리밍 혁명을 일으켜 글로벌 미디어 지형을 바꿔놓았다. 넷플릭스는 한해 80억달러(약 8조원)를 콘텐츠 제작에 투자한다. 비스포츠 콘텐츠 회사 중에는 전 세계 어떤 회사보다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가입자는 현재 1억2500만명이지만 오는 2030년까지 3억6000만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넷플릭스가 뿌리내린 콘텐츠 소비 방식(스트리밍, 멀티 스크린, 몰아보기)이 자리잡게 되자 이제 관심사는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옮겨가고 있다. 실제 넷플릭스의 경쟁사로 평가받는 ‘훌루(Hulu)’는 지금 라이브 TV를 내놓고 러시아 월드컵 중계로 가입자들을 유인하는 중이다.
셋톱박스형 매체(케이블TV, 위성방송, IPTV) 들은 ‘구시대 유물’이 됐다. 이들은 해지도 힘들고 모바일에서도 보기 힘들며 TV와 연결(테더링)도 안되기 때문이다. 더구나 10~20대 젊은 세대는 왜 콘텐츠를 셋톱박스형 매체를 통해 봐야 하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20세기 미디어 황제이자 글로벌 미디어의 대명사 루퍼트 머독은 지금이 매각(exit)의 적기임을 직감했다. 구글 유튜브, 페이스북, 아마존, 넷플릭스, 애플 등 실리콘밸리 테크 기업보다 이용자 데이터를 많이 확보하거나 그들보다 콘텐츠에 더 투자할 수는 없다고 봤다.
<중략>
경쟁 구도가 고착돼 있는 한국과 달리 미국 미디어 지형은 ‘전쟁’이란 표현이 어울릴 정도로 큰 변화가 오고 있다. “역사상 가장 큰 미디어 산업의 재편을 보고 있다”란 말이 나올 정도다. 지금은 어느 때보다 정부 정책과 규제, 매체(지상파, 종편, 신문, 포털 등) 중심 사고보다 이용자 행태 변화와 시장의 흐름, 데이터를 따라가는 것이 중요해졌다. 한국도 이 흐름에 벗어날 수가 없다. 그렇지 않으면 미디어 이용자의 외면을 받을 수밖에 없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폐전쟁] 미국의 타겟은 홍콩 자금시장 붕괴를 통한 중국 붕괴인가? (0) | 2018.06.22 |
---|---|
[화폐전쟁] 미·중 무역전쟁은 가짜?...여의도에 도는 '美금리인상 음모론' (0) | 2018.06.22 |
[자영업의 눈물] 쓸 돈이 없는 삶.. 숙박·학원·빵집부터 쓰러지고 있다 (0) | 2018.06.22 |
한계가구, 대출금리 급등 조짐에 '캄캄'...1분기 말 가계부채 1468조 원 (0) | 2018.06.20 |
[금융안정보고서] 금리 상승하는데…127만 가계부채 위험가구 '뇌관' (0) | 2018.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