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스크랩] 초보자들이 궁금해하는 ‘소셜미디어’, Q&A로 알아봤어요

배셰태 2010. 12. 23. 12:17

 

                                    

 

마트폰이 대표하는 모바일 인터넷기기를 기반으로 한 소셜미디어는 사이버 영역으로 인간관계를 확장하고 사회적 이슈에 따라 집단지성을 형성하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정책을 홍보하는 장으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개인적 푸념도 사회적 이슈가 될 수 있고 기업 최고경영자(CEO), 국가 지도자와도 '맞팔'(트위터 사용자가 서로 '친구 맺기' 하는 것) 뜰 수 있는 소셜미디어, '미친' 속도로 진화중인 소셜미디어의 열풍에 대해 정책공감이 시리즈로 소개합니다.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등 소셜미디어가 삼성경제연구소에서 선정한 '2010년 10대 히트상품'에 선정됐습니다. 이는 소셜미디어가 일시적인 유행을 넘어 일상화된 소통 창구로, 새로운 마케팅 도구로 자리 잡았다는 방증이기도 한데요. 하지만 소셜미디어를 이용하지 않는 이들에게 여전히 소셜미디어는 실체를 알 수 없는 '이상한 나라'일 뿐입니다. 정책공감이 소셜미디어 초보자들이 궁금해할 기본적인 내용을 Q&A로 알아봤습니다. 

 

 

Q1. 소셜미디어(Social Media)란 무엇인가요.

A. 가이드와이어 그룹 창업자인 크리스 시플리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자신의 생각과 의견, 경험, 관점, 정보 등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앙방향성 온라인 툴과 미디어 플랫폼을 소셜미디어라고 합니다. 지식과 정보의 민주화를 지원하며 사람들을 콘텐츠 소비자에서 콘텐츠 생산자로 변화시킨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신문, 잡지, 방송 등 기존 미디어를 소셜미디어 등 뉴미디어와 상대적인 개념으로 보고 ‘올드 미디어(Old Media)’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Q2. 소셜미디어와 SNS는 다른 개념인가요.

A .소셜미디어를 크게 나누면 블로그(Blog),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참여형 백과사전(위키피디아·Wiki), 사용자손수제작물(UCC), 마이크로 블로그(Micro Blog) 등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SNS는 소셜미디어의 일종으로 온라인 인맥구축 서비스입니다. 1인 미디어, 1인 커뮤니티, 정보 공유 등을 포괄해 참가자들이 서로에게 친구를 소개하거나 조건에 맞는 친구를 검색해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는 커뮤니티형 웹서비스를 이릅니다.
 

 

Q3. 트위터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A. 소셜미디어의 대명사처럼 불리는 트위터(Twitter)는 무료 소셜네트워킹서비스로, 1백40자 이내의 짧은 문장에 한해 지역 제한 없이 전 세계 이용자들과 실시간으로 대화를 나누거나 친구관계를 맺을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대선에서 승리하는 데 트위터를 이용한 홍보가 큰 역할을 하면서 더욱 유명해지기도 했습니다.
 

 

Q4. 향후 SNS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A. 위치정보와 SNS를 결합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지도 위에 기록,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를 ‘위치 기반 소셜네트워크서비스(LBSNS·Location Based Social Network Service)’라고 합니다. 글과 사진을 어디에서 올렸는지 기록하는 기본적인 기능부터 사용자 위치에서 맛집, 친구 등을 추천 검색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지역 기반의 마케팅에 유용해 네이버, 네이트온 등 각 포털들이 향후 유망한 광고시장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Q5. 소셜마케팅의 장점에 대해 알려주세요.

A. 소셜미디어를 통해 기업의 브랜드, 상품 등을 광고 선전하거나 소비자가 자신의 의견을 기업 측에 적극적으로 표출할 수 있도록 하는 행위를 통틀어 소셜마케팅(Social Marketing)이라고 합니다. 공급자와 소비자가 상호작용하는 양방향적 마케팅으로 저렴한 마케팅 비용, 빠른 전파력, 소비자의 요구에 대한 신속한 파악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Q6. 소셜미디어와 소셜커머스의 관계를 알려주세요.

A. 소셜마케팅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상품의 구매로 연결하는 것을 소셜커머스(Social Commerce)라고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에 알려진 소셜커머스는 SNS를 활용한 ‘공동구매형’ 전자상거래지만 SNS를 통한 제품 홍보, 쇼핑몰 게시판과 SNS의 연동, 페이스북 등 SNS에 상점을 개설하는 것 모두 소셜커머스의 범주에 들어갑니다.
 

 

Q7. 스팸메일 필터처럼 SNS상에서 유통되는 부적절한 정보들을 차단할 방법이 있나요.

A. 모든 정보의 자율적 공개를 기본으로 하는 SNS의 성격상 아직까지 정보 차단기능은 나와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정보의 생산, 유통, 수신’ 과정에서 사생활 침해 등 부적절하거나 왜곡된 정보라고 판단된 정보에 대해 이용자 스스로 확산을 차단한다는 소셜필터(Social Filter) 등 올바른 SNS문화 정착을 위해 자체 정화기능을 강화하려 노력하는 움직임들이 있습니다. 

 

 

 

<이 글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행하는 위클리공감(2010.12.22)에 실렸습니다. 위클리공감 바로가기>

  

        정책공감 블로그는 댓글 및 트랙백 등을 통한 많은 분들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건전한 소통을 위하여 공지사항 내 "정책공감 블로그 댓글정책"을 참조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정책공감 

 

출처 : 정책공감 - 소통하는 정부대표 블로그
글쓴이 : 정책공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