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2)

●미국, F-35B 16대 일본 배치 완료...F-35A와 함께 대북 선제타격에 선봉 역할

배셰태 2017. 11. 18. 14:58

美, 한반도 유사시 투입할 F-35B 16대 日배치 완료

연합뉴스 2017.11.17 김선한 기자

http://m.yna.co.kr/kr/contents/?cid=AKR20171117054200009&input=1195m

 

제121 전투비행대대, 16대 갖춰 완편 작전 체제 구축 오키나와 배치 F-35A와 함께 對北 타격에 선봉 역할

 

한반도 유사시 가장 먼저 투입되는 미국의 대표적인 항공전략 자산인 미국 해병대 소속 F-35B '라이트닝 2' 스텔스 전투기의 일본 배치작업이 예정대로 완료됐다.

 

미군 기관지 성조지는 일본 야마구치(山口) 현 이와쿠니(岩國) 기지에 전진 배치된 해병대 제121 전투비행대대가 15일 자로 미 서부 애리조나주 유마 해병 항공단 기지에서 날아온 F-35B 3대를 인수했다고 16일 보도했다. 이에 따라 이 전투비행대대는 F-35B 16대를 확보, 완전한 작전편제를 갖추게 됐다.

 

제121 전투 비행대대는 모두 16대의 F-35B기를 운영 중이지만, 이와쿠니기지에는 13대만 배치했다. 나머지 3대는 유마 기지에 잔류해왔다.

 

<중략>

 

일본 기지서 이륙하는 미 해병대의 F-35B 스텔스 전투기[미 태평양사령부 제공]

 

수직이착륙(STOVL) 기능을 가진 F-35B는 300m 길이의 짧은 활주로와 항공모함에서 이착륙이 가능하다. 길이 15.7m, 폭 10.7m, 최고속도, 마하 1.6(1천958㎞/h), 항속거리 1천670㎞, 전투 반경 935㎞인 F-35B는 또 탐지거리가 500㎞ 이상으로 적 레이더에 잘 잡히지 않는 최첨단 다기능 위상배열 레이더(AESA)인 'AN/APG-81'을 탑재했다.

 

최대 8.1t의 무장 탑재 능력을 갖춘 F-35B는 AIM-120 암람 공대공 미사일, 정밀 유도 폭탄 'GBU-32' 합동직격탄(JDAM), 레이더 기지 파괴용 소구경 정밀유도폭탄(SDB) 등을 발사, 적 표적을 정밀타격할 수 있다.

 

한반도 상공서 정밀유도폭탄을 발사하는 미 해병대 F-35B 스텔스기 편대[공군 제공]

 

한미 양국은 북한의 6차 핵실험과 중장거리 탄도미사일(IRBM) '화성-12형' 발사 등으로 한반도 위기가 고조되던 8월 31일과 9월 18일 두 차례에 걸쳐 F-35B 4대와 전략폭격기 B-1B 두 대로 구성된 전략자산을 동시 출격시켜 군사분계선(MDL) 인근에서 무력시위를 벌였다.

 

..이하전략

======================

[참고요]

■미국 핵추진 항공모함 3개 전단, '북한 해상봉쇄 전 단계' 최고 무력시위

문화일보 2017.11.10 정충신 기자

http://blog.daum.net/bstaebst/24062

 

로널드 레이건호, 니미츠호, 시어도어 루스벨트호 등 3척의 핵추진 항공모함 전단이 11일부터 14일까지 동해 한미연합작전구역(KTO)에서 펼칠 합동훈련은 고강도 대북 무력시위로 해석된다.

 

6·25전쟁 후 한반도 인근 해역에서 3척의 핵 항모 전단이 함께 훈련하는 것은 처음이다. 그만큼 핵 실전 배치가 임박한 북한에 대해 고강도 경고 메시지를 보내는 것으로, 군사적 대치가 엄중한 국면으로 진입했음을 의미한다.

 

미 해군은 칼빈슨호와 스테니스호를 미국의 태평양 쪽인 서부 해안에서 출항시켜 훈련에 들어간 상태로 유사시 5척의 항모를 한반도 인근에 전개할 태세를 갖추고 있다. 평시에 5척 이상의 핵 항모를 바다에 띄운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군사전문가들은 미 항모 3척의 한반도 인근 합동훈련에 대해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 때의 항행차단 및 대북 해상봉쇄 등 본격적인 봉쇄정책 전 단계 △군함을 사용해 외교를 하는 21세기 트럼프식 포함외교(砲艦外交·Gunboat Diplomacy) △예방타격 등 다양한 분석을 내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