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北, 연평도 포격 도발]트위터 통해 ‘비상상황’ 실시간 전파

배셰태 2010. 11. 24. 08:12

[北, 연평도 포격 도발]트위터 통해 ‘비상상황’ 실시간 전파

동아일보 정치 2010.11.24 (수)

 

北 해안포 발사 소식…트위터 통해 급속도로 전파

매일경제 세계 2010.11.23 (화)

 

트위터 '가짜' 연평도 위성사진에 놀아난 언론

중앙일보 사회 2010.11.23 (화)

 

연평도 포격에 트위터는 `부글부글`

전자신문 2010.11.23 (화)

 

해외 트위터도 온통 한국얘기

매일경제 정치  2010.11.23 (화)

 

트위터도 비상..北 해안포 포격 실시간 전파

연합뉴스 정치 2010.11.23 (화)


허위로 판명난 '연평도 위성사진' (서울=연합뉴스) 23일 오후 북한이 연평도 일대를 해안포로 포격하자 트위터 등에 '연평도 위성사진'으로 올라온 사진. 그러나 이 사진은 이후 2003년 이라크 전쟁 당시 바그다드 폭격 모습을 담은 사진인 것으로 밝혀졌다. 2010.11.23 <<특별취재팀 기사 참조, 트위터 캡쳐>> dkkim@yna.co.kr

주민 전화통화 시도하고 연평도 사진도 퍼날라
연평도 위성사진은 가짜..바그다드 폭격 장면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북한이 23일 연평도 일대를 해안포로 포격하자 시민들은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해 급박한 상황을 신속하게 전파했다.

섬 전체에 검은 연기 퍼진 연평도 (인천=연합뉴스) 하사헌 기자 = 23일 오후 인천시 옹진군 연평도에 북한이 발사한 포탄 수십발이 떨어져 연평도 곳곳이 검은 연기에 휩싸여 있다. 2010.11.23 << 연평도 여행객 제공 >> toadboy@yna.co.kr

시민들은 연평도 민가에 포탄이 떨어져 아수라장이 됐다는 소식이 전해진 이날 오후 3시를 전후해 각종 사진과 언론 속보를 실시간으로 전하며 북한의 행동을 비난하고 피해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계정 '@hermanoceo'는 연평도 해안가에서 검은 연기가 치솟는 사진을 첨부하면서 "연평도 현재 상황사진이라네요. 참 개탄스럽습니다. 매번 퍼주고 뒤통수 맞고 있습니다"며 분노를 표했다.

이후 해병대 소속 군인이 사망하고 연평도 주민들도 부상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관련자들의 피해를 걱정하는 목소리도 높았다.

'@dkfka0307'는 "뉴스속보 보고 얼마나 놀랐는지 모릅니다. 동생이 해병대에 복무 중인데 매우 걱정된다"며 "제발 아무 일 없길 바란다"고 말했다.

시커먼 연기가 치솟는 연평도 (인천=연합뉴스) 하사헌 기자 = 23일 오후 인천시 옹진군 연평도에 북한이 발사한 포탄 수십발이 떨어져 연평도 곳곳이 검은 연기에 휩싸여 있다. 2010.11.23 << 연평도 여행객 제공 >> toadboy@yna.co.kr

'@rokgeneral'도 "연평도에 아버지 동기들이 다 근무하고 있다. 경계태세가 강화됐다고 하는데 수업 듣다 뛰쳐나왔다"며 다급한 마음을 전했다.

SNS 이용자들은 "연평도 현장 상황을 공유하자"며 자료 업데이트를 독려하고, 해외 언론의 보도와 사진도 수집해 전하는 한편, 지인인 현지 주민들과의 전화통화를 시도하는 등 적극적으로 정보 전달을 시도했다.

유명인들은 SNS를 통해 차분하게 사태를 살펴보자고 당부하기도 했다.

국내에서 팔로워 수가 가장 많은 소설가 이외수씨는 트위터를 통해 "뉴스를 계속 시청하면서 사태의 추이를 지켜보시기 바란다"며 글을 남겼다.

<그래픽> 북한군 주요 도발 일지 (서울=연합뉴스) 박영석 기자 = 북한이 23일 서해 연평도 인근에 수십 발의 해안포를 발사해 이 중 수 발이 주민들이 사는 연평도에 떨어졌다. 1996년 이후 북한의 주요 도발 일지. zeroground@yna.co.kr @yonhap_graphics(트위터)

그는 "전쟁이 그리 쉽게 발발하는 것은 아니지만 지금 상황은 전례가 드문 일에 해당한다. 국민들도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단결해야 한다"며 "위기상황이 오면 나라를 지키기 위해 기꺼이 전장으로 달려가겠다"고 말했다. 또 다른 유명인들도 "생필품 사재기 등 혼란이 없었으면 좋겠다"며 차분한 대응을 독려했다.

한편 이날 트위터에서는 2003년 이라크 전쟁 당시 바그다드 폭격 사진이 '연평도 위성사진'으로 삽시간에 퍼져 나간 뒤 가짜로 판명 나는 등 혼란을 빚기도 했다.

이용자들은 "이런 상황에서 허위 사진을 어떻게 올릴 수가 있느냐"며 분통을 터트렸지만, 가짜 사진임이 밝혀진 이후에도 이 위성사진이 계속 전파되면서 트위터의 빠른 전파 속도에 대한 우려가 터져 나왔다.

<그래픽> 北 포격 대응 아군 무기 체계 (서울=연합뉴스) 장성구 기자 = 이용걸 국방부 차관은 23일 오후 국회에서 북한의 연평도 포격 관련 민주당 지도부에 대한 비공개 보고중 북한측이 오후 2시34분 해안포 20여발을 쏘면서 공격했으며, 아군도 K9 자주포로 오후 2시49분께 1차 대응, 오후 3시1분께 2차 대응을 했다"고 밝혔다. sunggu@yna.co.kr @yonhap_graphics @stanleychang21 (트위터)

이 때문에 '@lifedefrager' 등은 "연평도 관련 소식은 항상 보도 출처를 밝혀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withwit@yna.co.kr

[관련기사]

▶ 北, 연평도에 해안포.곡사포 100여발 발사(종합)

<그래픽> 北, 연평도에 해안포.곡사포 100여발 발사 (서울=연합뉴스) 박영석 기자 = 북한군이 23일 오후 2시34분께부터 1시간가량 서해 연평도 북방 개머리 해안포 기지에서 연평도로 해안포와 곡사포 100여발을 발사하는 도발을 감행했으며 우리 군도 80여발 이상 대응사격을 했다. zeroground@yna.co.kr @yonhap_graphics(트위터)

▶ <北 포격 받은 연평도 '불바다.아수라장'>

▶ <北,잊을 만하면 도발 "이젠 영토에 포사격까지‥>

▶ <남북, 연평도 포격전..긴장 최고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