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중국, '알파고 쇼크' 인공지능(AI) 공격 투자…"16조원 시장 만들겠다"

배셰태 2017. 5. 24. 14:01

中 '알파고 쇼크' 인공지능 공격 투자…"16조원 시장 만들겠다"

연합뉴스 2017.05.24 (우전<중국 저장성>) = 정주호 특파원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5/24/0200000000AKR20170524044700089.HTML?input=1195m


중국이 구글을 경계하면서도 알파고와 커제(柯潔) 9단의 대국을 성사시킨데는 인공지능(AI)에 대한 관심이 큰 몫을 했다.

 

중국은 작년부터 노동과 자본 투입을 통한 기존 경제발전 모델의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타개하기 위한 새로운 동력으로 인공지능 산업에 주목, 공격적인 투자를 쏟아붓고 있다.

 

지난해 3월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대결로 인공지능이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자 중국 정부는 2개월만에 범국가적 인공지능 산업 육성을 위한 '인터넷 플러스 인공지능 3년 실천방안'을 마련했다.

 

<중략>

 

지식재산권 조사기관 팻스냅(PatSnap)에 따르면 2015년 기준으로 중국이 인공지능 분야에서 출원한 특허 건수는 총 6천900건으로, 미국(9천786건)에 이어 세계 2위에 올라서 있다.

 

알파고와 커제 대결…중국 인공지능 투자 활발[연합뉴스 자료사진]

 

빅데이터, 음성 및 이미지 인식 처리 기술의 발달로 인공지능의 상용화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중에서도 중국의 빅데이터 육성은 인공지능을 구현하기 위해 기계가 학습할 수 있는 데이터의 축적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의 하드웨어인 슈퍼컴퓨터 개발 경쟁에서 중국은 눈부신 약진을 보이고 있다. 중국은 현재 '선웨이 타이후 라이트'(神威太湖之光)와 톈허(天河)-2호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연산속도를 자랑하는 슈퍼컴퓨터 2대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6월 세계 슈퍼컴퓨터 연산성능 순위에서 '선웨이 타이후 라이트'가 세계 1위를 차지함으로써 중국은 슈퍼컴퓨터 분야에서 7번째 연속으로 세계 톱에 오르게 됐다.

 

외국산 반도체 칩으로 6차례 세계 1위에 올랐던 톈허 2호와 달리 선웨이 타이후 라이트는 중국산 반도체 칩을 사용했다는 점도 중국이 자부심을 갖는 이유중 하나였다.

 

<중략>

 

중국의 인공지능 투자는 기업 중심으로 이뤄진다. 바이두(百度), 알리바바, 텅쉰(騰迅·텐센트) 등 BAT 인터넷 기업이 주도하고 핵심기술은 중소기업이 포진하는 형태다.

 

<중략>

 

중국의 슈퍼컴퓨터 선웨이 타이후 라이트[EPA=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