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화 칼럼] 알파고 쇼크에서 배우지 못한 것
이투데이 2017-04-17 이민화 벤처기업협회 명예회장
http://m.etoday.co.kr/view.php?idxno=1481050#cb#csidx701c401920f716cb0c7ba1cc8f41a6c
알파고 쇼크 이후 1년여가 지났다. 그동안 한국은 변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기술 중심의 과거 추격자 패러다임 때문으로 보인다. 문제는 기술 개발이 아니라 기술 활용 의지와 활용을 가로막는 규제에 있다.
이제 4차 산업혁명에서 기술은 더는 한계 조건이 아니다. 대부분 기술은 개방돼 있다. 지난해 대한민국을 강타한 알파고 쇼크를 보자. 구글의 자회사인 딥 마인드는 그 놀라운 알파고의 소스코드를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깃허브(Github.com)에는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넷플릭스, 에어비앤비의 핵심 소프트웨어들이 줄줄이 공개돼 있다. 혁신을 가속화하려면 닫힌 경쟁이 아니라 열린 협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의 경쟁 방정식은 남들이 할 수 있는 주변 역량은 공유하고 남들이 못하는 핵심 역량의 혁신으로 이동하라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은 이미 남이 한 것을 따라가던 추격자 패러다임의 대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기술 개발보다 기술 활용이 중요한 시대다. 알파고와 경쟁할 한국형 인공지능 개발보다 글로벌 개방형 인공지능의 활용이 중요하다.
<중략>
기업인은 다음과 같은 두 부류로 나뉜다. 우선 인공지능을 개별 기업이 접근하기는 너무 어렵다고 지레 겁을 먹고 포기하는 그룹과, 인공지능을 활용하려고 하는데 인공지능의 식량인 데이터가 없어 실망하는 그룹이다.
우선 대부분을 차지하는 전자의 그룹을 보자. 이들은 정부가 투입하려는 엄청난 개발 예산을 보고 인공지능은 자신들이 가까이하기엔 너무 어려운 기술이라 단정해 버렸다. 그런데 여러 글로벌 기업들이 오픈소스로 제공하는 인공지능은 날이 갈수록 무료 활용이 쉬워지고 있다. 마음만 먹으면 대부분 기업이 영업, 품질, 생산 등의 분야에서 몇 달 내에 가시적 성과를 낼 수 있다. 필자는 1년 전 기고문을 통해 한국의 우선순위는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이 아니라 인공지능 활용의 확산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교육, 금융, 의료 등의 미래 산업 분야에서 인공지능을 바탕으로 미래 사업을 하려는 후자의 그룹을 보자.
<중략>
우리는 알파고 이후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에 매달려왔다. 그런데 정작 중요한 것은 활용을 위한 의지와 데이터의 규제였다. 4차 산업혁명의 성패는 개별 기술과 개별 산업에 달려 있지 않다. 기술과 산업을 융합해 사회를 변화시키는 규제혁파와 기업가 정신 활성화가 4차 산업혁명으로 가는 원동력이다. 4차 산업혁명에서 ‘무엇이 중헌디!’를 되새겨 보자.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파벳(구글)·아마존, 27일(현지시간) 경이적인 성장에 주가 사상 최고 (0) | 2017.04.28 |
---|---|
[F8] 마크 주커버그 페이스북 CEO “근 시일 내 AR시대 도래할 것” (0) | 2017.04.20 |
유튜브 "조회수 1만 넘을때까지 수익 제한"...저작권 침해 문제 때문 (0) | 2017.04.08 |
[제4차 산업혁명] 안전·간편 결제… '블록체인'이 공인인증서 밀어낸다 (0) | 2017.04.08 |
[온디맨드 서비스] 자동차 산업의 지각변동...테슬라 기업가치, 포드 넘어섰다 (0) | 2017.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