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세계 2010.10.09 (토)
어젠다 - 선진국 문턱, 이젠 넘자
제도 도입 25년 된 미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미국은 최근 유연근무제 확산에 가장 적극적이다. 본지는 8월 초 여성가족부와 함께 미국의 유연근무 시스템을 둘러봤다.
미국은 1985년 연방 공무원 탄력·집약근무시간법을 제정하고 유연근무를 도입했다. 미 연방정부 인사관리처(OPM)의 리처드 로위 행정국장은 “최근엔 사무실에 출근하지 않고 원격 근무하는 텔리워크(Telework)를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현재 일주일에 하루 이상 원격근무를 하는 공무원은 전체의 10% 정도다. 총무처(GSA)에서 연방정부의 사무실과 빌딩 등의 관리 업무를 맡고 있는 재미동포 토키 브래드필드(52·여)는 “매주 금요일엔 재택근무를 한다”며 “교통혼잡을 막고 에너지를 절약하는 그린사무실 정책의 일환으로 더욱 권장되고 있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OPM의 로위 국장은 “유비쿼터스 시대에 근무 시간이나 장소는 이제 의미가 없다”며 “보다 뛰어난 젊은 인재들을 공직에 끌어오기 위해서도 시대 변화에 맞는 근무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버락 오바마(사진) 대통령은 유연근무제를 중소기업에까지 확산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올 3월 워싱턴에서 기업·노동계 간부를 대상으로 포럼을 연 데 이어 내년 3월까지 시카고·댈러스·뉴욕·LA 등 주요 도시에서 간담회를 열 예정이다. 이 행사를 주관하고 있는 노동부의 사라 만자노-디아즈 여성국장은 “기업환경과 고령화 등으로 인해 이제 유연근무제가 여성만이 아닌 모든 가정의 웰빙과 기업의 성공을 위해 절실하다는 인식 때문”이라고 말했다.
‘가정과 일 연구소(FWI)’의 엘렌 갈린스키 소장도 “현재 미국 풀 타임 근로자의 48%가 부양해야 할 자녀가, 45%는 노인이 있다”며 “이들이 가정을 돌보면서 일을 하지 않으면 기업도 살아남을 수 없다”고 강조한다.
당장은 비용이 더 들 수도 있지만 궁극적으로 직원들의 결근과 이직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이다. FWI가 슬론재단과 함께 매년 유연근무제 모범기업을 평가·선정하는 ‘슬론상’에는 현재 IBM 등 대기업부터 중소잡화점까지 1000여 개 기업이 신청한다. 갈린스키 소장은 “기업들에 강요하지 않는데도 유연근무가 늘어나는 이유는 생존과 성공에 도움이 된다고 스스로 절감하고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EU FTA 체결, 기대효과는? (0) | 2010.10.13 |
---|---|
[스크랩] 직업의 모든 것, `직업능력지식포털`에서 알아보세요~ (0) | 2010.10.13 |
[스크랩] 스마트 워크, 업무공간의 개념을 바꾸다 (0) | 2010.10.10 |
베이비붐 세대(712만 명), 볼런티어 되자 (0) | 2010.10.10 |
다음 "요즘에 오면 취업정보 다 있다" (0) | 2010.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