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 MBA] 매일경제 2010.10.08 (금)
유연한 기업이 더 높이 오른다 ===================클릭
[Cover Story] 유연한 기업 vs 경직된 기업
정해진 시간 정해진 장소에서 일한다는 생각 바꿔라
제조업은 유연근무제 힘들지 않나요? =============클릭
천만의 말씀…얼마든지 가능합니다
고정관념 버리니 업무성과 좋더라 ================클릭
세계적인 인사 컨설팅회사 휴잇의 최고다양성책임자 안드레 타피아
사장님들의 생각…그건 오해입니다
======================================================================================
최후까지 살아남는 비결 `유연성` ================클릭
BMW, 25년전 도입한 유연근무제가 성공의 한축
미국의 대형 유통업체 `베스트바이`에는 근무 스케줄이 없다. 전적으로 직원들이 스스로 근무시간을 결정한다. 직원들의 성과평가 때도 근무시간은 아예 따지지 않는다. 직원들에게 자율적으로 업무를 하게 하자 생산성이 무려 35%나 향상됐다. 업무 몰입도가 높아지면서 이직률도 줄었다. 유연근무제도가 직원과 회사 모두에 큰 이득이 된 셈이다.
한국 기업들은 아직도 유연근무제를 도입하는 데 소극적이다. `눈에서 멀어지면 마음에서도 멀어진다`는 연애 속담을 경영관리의 기법으로 철썩같이 믿고 있는 듯하다. 밤늦게까지 불이 켜져 있는 사무실은 직원들의 열정을 가늠하는 지표로 인식된다.
하지만 기업인과 직원들의 이러한 `근무시간 기록표`식 사고로는 더 이상 업무 생산성을 높이지 못하는 시대가 왔다. 같은 목표를 가진 사람들이 한정된 공간에 모여 제한된 시간 안에 일을 끝마치는 경직된 `일터` 개념으로는 생산성을 높이는 데 한계에 봉착했기 때문이다.
이제는 경직보다는 탄력이 기업의 미래를 결정짓는다. 출퇴근시간이라는 개념이 사라지고 일터의 정의는 `일을 하는 지정된 장소`에서 `특정 형태의 일이 이뤄지는 모든 장소`로 변했다.
선진국에서는 제조업 공장에서도 오래전부터 유연근무제가 도입됐다. 독일 자동차 회사 BMW는 25년 전에 레젠스부르크 공장에 처음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이래 딘골핑ㆍ뮌헨ㆍ베를린ㆍ란츠후트 공장 등으로 확대 실시해 큰 성과를 올리고 있다.
`눈앞에 보이는` 직원들을 관리해야 한다는 관습은 버릴 때가 됐다. 목적에 따라 직원을 관리해야 한다.
휴잇의 최고다양성책임자(CDO) 안드레 타피아는 "유연성은 유연성을 낳는다"고 역설했다. 기업이 유연해질수록 직원들은 유연하게 목표보다 더한 성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최악의 전쟁 속에서 모두 승자가 되는 길, 답은 유연성에 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이비붐 세대(712만 명), 볼런티어 되자 (0) | 2010.10.10 |
---|---|
다음 "요즘에 오면 취업정보 다 있다" (0) | 2010.10.09 |
한·EU FTA 서명, 미·중·일에 지렛대로 (0) | 2010.10.09 |
한·EU FTA 서명에 몸단 美·日 (0) | 2010.10.09 |
[韓·EU FTA 파장] 오바마 "韓·美 FTA 빨리 성사시켜라" 긴급 지시 (0) | 2010.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