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2)

[쏙뽀!!] 제6차 촛불집회 전 진보·보수단체 사전 집회 시작

배세태 2016. 12. 3. 14:47

[속보]6차 촛불 집회 전 진보·보수단체 사전 집회 시작

/2016.12.03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6차 촛불 집회’가 예고된 3일 진보단체와 보수단체가 오후 2시부터 각각 집회를 시작했다.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새누리당사 앞에서 새누리당을 규탄하는 집회가 열리고 있다./유지한 기자

 

서울진보연대 등 사회단체는 이날 서울 여의도 새누리당 당사 앞에서 ‘박근혜 퇴진! 새누리당 해체! 국정농단 공범 새누리당 규탄 시민대회’를 열었다. 집회 참가자 약 200명은 ‘새누리당 해체하라’ ‘박근혜 즉각 퇴진’ 등 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쳤다.

 

<중략>

 

서울 동대문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앞에서 보수단체가 촛불집회에 반대하는 맞불집회를 열고 있다/김상윤 기자

 

반면 보수 단체들은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을 반대하는 ‘맞불 집회’를 열었다. 박 대통령 팬클럽 ‘박사모’와 애국시민연합 등 보수단체 회원들은 이날 서울 동대문구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앞에서 ‘헌정 질서 수호를 위한 국민의 외침’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단돈 1원 먹지 않은 대통령 퇴진 웬말이냐’ ‘헌법 위에 있는 떼법 박살내자’ 등 문구가 들어간 현수막을 걸었다. “선동의 촛불은 김정은 명령이다”, “촛불로 지른 장난 나라 잃고 후회한다” 등의 구호도 외치고 있다.

 

..이하전략

===========================

[참고요]

※제3차 촛불집회 참가인원수 : 26만명(경찰 추산)

 

■[숫자놀음] 광화문 100만 촛불민심?…언론 광기가 만든 반정부 허위 선동

미디어펜 2016.11.15 박한명 논설주간

http://blog.daum.net/bstaebst/18974

 

언론이 지난 주말 촛불집회 참가인원수를 일제히 100만 명으로 보도하고 있다. 소위 조중동 한경오 등 예외가 없다. 경찰 측 계산은 다르다. 대규모 인원을 집계하기 위한 '페르미 추정법'이라는 계산법을 사용한다. 경찰의 26만명 계산은 이렇게 매 시간마다 현장에 집결한 '순간 최대 인원'을 카운트하는 방식을 취한 결과라고 한다.

 

조선일보를 포함한 언론들은 이제 그만 악의적인 보도를 멈춰야 한다. 박근혜정권 반대 시위세력인 주최 측이야 '100만 촛불민심'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언론이 경찰 추산 집계는 뭉개고 '100만 촛불민심'으로 단정해 일방적으로 보도하는 것은 프로파간다(선동)이다.

 

언론이 나서서 정권을 뒤엎으려한다는 결정적인 증거가 될 뿐이다. 지독한 언론의 광기는 국가적으로도 언론역사에도 큰 후유증을 남길 것이다. 훗날 이번 사태에서 보인 언론의 집단적 광기가 언론 역사의 큰 오점으로 남지 않길 바랄 뿐이다.[요약]

-----------

※제5차 촛불집회 참가인원수 : 22만명(경찰 추산)

 

 

■제5차 광화문 촛불집회, 경찰 추산 22만명...제3차 26만명 수준에 못 미처

미디어펜 2016.11.27 한기호 기자

http://blog.daum.net/bstaebst/19058

 

■제5차 촛불집회 10만여명, 하야·탄핵하라? 거대하게 부풀어 오른 풍선 민심

이디어폔 2016.11.27 김규태 재산권센터 연구위원

http://blog.daum.net/bstaebst/19056

 

26일 토요일 시위 5주차, 5~10만 인파로 추정되는 시위대는 경복궁 옆 청와대 앞길과 광화문 사거리를 오가며 자기들만의 축제를 즐겼다. 추위 가운데 SNS 인증샷을 올리며 기뻐하는 모습에서 2002년 붉은악마와 2008년 광우병 시위대가 오버랩 됐다.

 

하지만 집회를 거듭할수록 늘어나는 건 참가자가 아니라 노점상이었다. 이날 130만이 운집했다는 언론 보도는 허언이었다. 시청 앞 서울광장은 내내 텅 비어있었고 광화문 사거리 앞도 군데군데 여유로웠다. 박 대통령의 퇴진-자진 하야를 촉구하는 광화문 촛불집회의 동력은 꺼졌다.[요약]

---------------

■미안하게도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오지 않는다

미래한국 2016.11.27 한정석 편집위원/前KBS PD

http://blog.daum.net/bstaebst/19057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우리 헌법 제1조의 이 구절은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의 헌법을 베낀 것이다. 독일은 이 구절을 2차대전 후, 헌법에서 삭제했다. 청와대를 포위하고 내란이나 외환의 죄가 아니면 소추되지 않는 대통령을 체포나 구속하라는 이들은 가치있는 삶을 사는 시민, 즉 '비오스'인가 아니면 ‘무지하고 비루한’ 자연인 쪼에들인가.

 

광장의 군중들은 어쩌면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비오스의 정치적 삶을 살고 있다고 생각하는 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나찌의 독일 군중들도 그랬다. 나찌즘과 파시즘에 참여하는 삶도 정치적 삶이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어떤 정치적 행동이 좋은 것인가’라고 반드시 물어야만 한다. 그것이 정치철학이다

 

광장의 외침은 모든 국민이 복종해야 하는 헌정 질서와는 관계가 없다. 아무리 그 수가 100만을 넘고 폭력이 없는 평화집회라 하더라도, 그러한 외침과 행동은 주권자의 입법명령으로 제정된 헌법 질서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주권자란 만장일치로 성립된, 그래서 분할되지 않고 양도되지 않는 ‘총의(總意)적 존재’이지, ‘다수적 존재’가 아니기 때문이다.

 

주권의 최고 의사결정권자인 대통령은 결단을 해야한다. 현재의 상황을 혁명으로 보고 스스로 퇴임할 것인가, 아니면 반란으로 보고 헌정수호를 위해 내전을 결심할 것인가. 그것이 설령 비상대권을 통한 계엄의 선포이든 뭐든 대통령은 결단해야 하는 것이다.

 

통치의 덕은 최선과 차선 사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악덕과 다른 악덕 그 사이에 존재한다. 용기라는 덕이 '비겁'이라는 악덕과 '만용'이라는 다른 악덕의 사이에 있는 것처럼, 헌정수호의 '공화주의적' 결단 역시 '독재'라는 악덕과 '무정부'라는 다른 악덕의 어딘가 쯤에 놓여있다.

 

‘주권자는 주권의 예외적 상황에서 결단할 수 있는 자이다.’ 칼 슈미트의 말이다. 이 말이 지금 엄중하게 들리는 것은 주권의 최고 결정권자인 대통령이 주권의 예외적 상황에서 결단하지 못하면 주권은 다른 주권자들에게 넘어간다는 역사적 법칙 때문이다.[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