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제4차 산업혁명] O2O 평행모델, 현실과 1대1 대응되는 가상세계

배세태 2016. 10. 28. 08:21

[이민화의 4차 산업혁명] 현실과 1대1 대응되는 가상세계

서울경제 2016-10-26 이민화 창조경제연구회 이사장·KAIST 초빙교수

http://www.sedaily.com/NewsView/1L2UGK7C91#cb

 

<4> O2O 평행모델

내비게이터·자율주행차 등

온라인 세계서 시공간 재조합

오프라인에 최적화하는 역할

기술 넘어 원리까지 이해해야

 

제4차 산업혁명은 1·2차 산업혁명이 만든 현실의 오프라인 세계와 3차 산업혁명이 만든 가상의 온라인 세계의 융합이다. 이러한 제4차 산업혁명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한 O2O(online 2 offline) 평행 모델을 소개하려 한다.

 

원자로 이뤄진 오프라인 세계와 비트로 이뤄진 온라인 세계의 거대한 충돌의 혼돈에서 1조원이 넘는 스타트업인 유니콘들이 우후죽순처럼 등장하고 있다. 10년 전인 지난 2006년 전 세계 기업가치 10위 안의 기업들은 대부분이 오프라인 에너지와 금융회사였다. 그런데 2016년 지금은 1위에서 5위까지가 O2O 융합 사업을 전개하는 애플·구글·마이크로소프트(MS)·아마존·페이스북으로 대체됐다. 세계 경제의 판도가 소용돌이 치고 있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의 O2O 융합은 편집이 불가능한 오프라인 현실계와 편집이 가능한 온라인 가상계의 1대1 대응으로 설명된다. 이렇게 현실과 1대1 대응되는 가상 세계를 O2O 평행 모델이라 정의하려 한다.

 

편집과 복제가 가능한 온라인 가상 세계에서 시공간을 재조합해 오프라인 현실 세상을 최적화하는 것이 O2O 평행 모델의 역할이다. 내비게이터와 자율주행차가 대표적 사례다. (...) 이러한 O2O 최적화는 동일한 원리로 병원·공장·여행 등 인간의 삶의 모든 분야로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O2O 평행 모델은 현실 세계를 데이터화해 가상 세계로 보내는 디지털화와 가상 세계를 현실에 구현하는 아날로그화 과정으로 이뤄진다.

 

우선 디지털화 과정을 보자. 사물인터넷(IoT)이 오프라인 세상의 정보를 온라인의 클라우드로 끌어올려 빅데이터를 만든다. 디지털화 과정이다. 인공지능(AI)이 빅데이터를 처리해 예측과 맞춤으로 다시 오프라인 세상의 최적화를 제안한다. AI 처리 과정이다. AI의 제안을 3차원(3D) 프린터나 가상현실 기기 등으로 현실에 구현한다. 아날로그화 과정이다. 이러한 4단계 순환 과정으로 O2O 평행 모델은 구성된다.

 

4차 산업혁명은 이러한 O2O의 순환으로 이해해야 한다. IoT·빅데이터·AI·가상현실 등은 이러한 순환 과정에 필요한 요소 기술들일 뿐이다. 개별 기술로 4차 산업혁명을 이해하려는 것은 코끼리 다리 만지기와 같다.

 

<중략>

 

O2O 평행 모델과 6대 디지털화 기술, 6대 아날로그화 기술과 AI를 이해하는 것이 4차 산업혁명의 첫 번째 비밀의 문을 여는 열쇠가 될 것이다.

==========

[추천도서]

4차 산업혁명으로 가는길

이민화 지음 | 창조경제연구회 | 2016.09.01

http://blog.daum.net/bstaebst/18513

 

[책소개]

 

벤처 선구자 이민화 기고문 모음집 『4차 산업혁명으로 가는 길』. 이 책에서는 타국을 벤치마킹하는 단계를 넘어 4차 산업혁명을 재해석하고, 일자리의 미래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저자소개]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mhleesr

유튜브 채널 http://bit.ly/mhlee_YouTube

블로그 http://blog.naver.com/mhlee1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