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제4차 산업혁명] 개헌을 넘어 블록체인 기반 직접민주제로 가는 길

배세태 2016. 10. 25. 01:17

[이민화 칼럼] 직접민주제로 가는 길

이투데이 201616-10-24 이민화 벤처기업협회 명예회장

http://m.etoday.co.kr/view.php?idxno=1402058

 

진정한 대한민국의 혁신은 기존의 정부 구조 개헌 논의를 넘어 모든 국민이 참여하는 숙의 직접민주제로 촉진될 것이다. 직접민주제는 블록체인 기반의 직접 비밀 스마트 투표로 가능해진다. 여기에 정책 싱크탱크들이 시민들과 소통하는 블록체인 기반 정책 시장이 형성되면 숙의 직접민주제가 완성돼 현 정치 체제를 극복하는 획기적인 대안이 될 것이다. 이로써 경제자산을 만드는 기술혁명과 사회자산을 만드는 신뢰혁명이 결합하는 궁극적 4차 산업혁명이 완성될 것이다.

 

그런데 단번에 바로 직접민주제로 가는 이상적인 개혁은 많은 문제에 봉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가 차원의 중대 정책 결정을 블록체인 스마트 투표로 바로 결정할 경우, 조직화된 특정 집단의 결집에 의한 편향성이 우려된다. 국가 전체로는 소수인 특정 지역 혹은 특정 이념 집단의 의견이 다수 의견처럼 오도될 수 있다. 그래서 직접민주제의 단계별 확산 로드맵을 다음과 같이 제시해 본다.

 

우선 시작은 여론조사를 대체하는 것이다.

 

<중략>

 

다음은 집단 의사 결정을 위한 투표다. 사람을 뽑는 것보다 정책별 투표가 도입하기에 쉽다. 정책 투표는 일회성이고 명시적이나, 대표자 선발은 연속성이고 비명시적이기 때문이다.

 

<중략>

 

직접민주제에 따르는 포퓰리즘의 우려를 정책 연구 단체들인 싱크탱크의 참여로 극복할 수 있다. 미래의 정당은 싱크탱크와 같은 형태가 될 것이라는 게 호르크스의 주장이다. 한국의 싱크탱크는 정부와 대기업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이 불편한 진실이다. 이는 싱크탱크의 재정적 자립이 어려워 정부 혹은 대기업에 손을 벌리는 한국의 형편에 기인한다. 한국에 미국의 부루킹스, 헤리티지와 같은 민간 싱크탱크가 없는 근본적인 이유는 시민참여 부족에 따른 재정난 때문이다. 한국의 시민 참여도가 OECD 최저라는 것이 문제의 뿌리다.

 

정책 시장으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싱크탱크들의 정책들이 정책 시장에서 시민들이 정책 예측 게임으로 참여하는 과정 중 시민 참여와 정책 진화가 동시에 이뤄질 수 있게 된다.

 

<중략>

 

이제 국가는 통치의 거번먼트(Government)에서 협치의 거버넌스(Governance)로 진화하게 될 것이다. 신뢰의 기술인 블록체인 기반의 숙의 직접민주제가 4차 산업혁명의 궁극적인 국가의 모습이다.

==========

[추천도서]

4차 산업혁명으로 가는길

이민화 지음 | 창조경제연구회 | 2016.09.01

http://blog.daum.net/bstaebst/18513

 

[책소개]

 

벤처 선구자 이민화 기고문 모음집 『4차 산업혁명으로 가는 길』. 이 책에서는 타국을 벤치마킹하는 단계를 넘어 4차 산업혁명을 재해석하고, 일자리의 미래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저자소개]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mhleesr

유튜브 채널 http://bit.ly/mhlee_YouTube

블로그 http://blog.naver.com/mhlee1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