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스크랩] 스마트 TV, 너 정체가 뭐냐?

배셰태 2010. 9. 30. 16:22
 

 

'똑똑한 TV? 스마트 TV!', 그런데, 스마트 TV가 뭘까? 이렇게 생각하시는 분 많으실것 같아서 한번 알아봤습니다. 구글이 소니와 합작해서 제품을 출시하고, 애플도 곧 출시하겠다고 한 스마트 TV의 개념과 정의!

 

 

 

 

스마트 TV , 아직 정의를...

 

결론부터 애기하자면, 스마트 TV라는 용어는 아직까지 관련 업계 종사자들 사이에서도 통용되는 정의를 내리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라고 합니다. 그렇다 해도 나름 그 영역을 고려해 정의하자면, TV에서 제공되던 서비스를 PC에서 수용하고자 했던 시도가 웹 TV라면, PC가 제공하던 소비기능을 TV에서 수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현재 급속하게 번지고 있는 스마트TV 입니다.

 

스마트 TV 개념의 근간은 커넥티드 TV

 

가장 기본적인 기능의 제공 측면에서 보았을때, 스마트 TV의 개념적 근간은 커넥티드 TV에 있습니다. 기존의 TV에 인터넷 연결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는 커넥티드 TV는 브로드밴드 TV 또는 인터넷 TV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인터넷의 광대역화에 따라 많은 가정이 브로드밴드 연결을 이미 수용하는데서 시작이 되었어요. 커넥티드 TV는 주로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위젯(widget)이라고 하는 간단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터넷상의 정보와 미디어를 TV를 통해 소비할 수 있도록 하죠. 이미 PC 사용으로 익숙해진 위젯을 이용해 몇 번의 리모컨 버튼 조작으로 TV를 통해 다양한 인터넷 상의 정보를 소비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미 PC 사용으로 익숙해진 위젯을 이용하여 몇 번의 리모컨 버튼 조작으로 TV를 통해 다양한 인터넷 상의 정보를 소비할 수 있도록 하죠.

 

지금 스마트 TV가 주목받는데는 애플의 아이폰의 영향이 크다?

 

그러면, 이미 3년 전에 출시가 된 제품이 왜 지금에서야 각종 매체 상에 오르내리며 회자되는 것일까요? 이는 지난 2년간에 걸쳐 애플의 아이폰으로 대표되는 스마트폰의 센세이션과 무관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어플리케이션을 자신이 원하는 방식대로 쉽게 활용이 가능한 휴대폰의 개인화가 가능하게 한 아이폰의 열풍에 구글 TV 산업 진출 발표와 맞물려 스마트 TV의 광풍이 불고 있는 것이죠.

 

커넥티드 TV와 스마트 TV는 어떻게 구분하나?

 

제공되는 기능으로 커넥티드 TV와 스마트 TV를 명확하게 구분하기는 힘들지만, 사용되는 플랫폼의 측면에서 보면 어느 정도 구분을 지을 수 있겠죠. 커넥티드 TV는 한정적인 인터넷 정보를 취하는 반면, 스마트 TV는 다소 고사양의 CPU를 사용하고 PC의 OS와 같은 역할을 하는 개방형 플랫폼을 탑재하여 이 플랫폼 상에서 운용이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누구나 제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결국 스마트 TV는 기존 방송 서비스를 소비하는 기능 외에 일정한 개방형 플랫폼을 기반으로 인터넷 연결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종 영상물을 포함한 인터넷 상의 데이터 소비가 가능한 TV를 의미합니다.

 

 

참고문헌: 전파진흥 20권 5호

 

 

 

 

 

출처 : 두루누리의 행복한 상상
글쓴이 : 두루누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