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ly BIZ] '포켓몬 고' 넘어서는 증강현실 세상 온다
조선일보 2016.07.23 레오니드 버시스키 블룸버그 칼럼니스트
http://m.biz.chosun.com/svc/article.html?contid=2016072201768&rank_wb
캐릭터가 3D로 구현돼야 진정한 증강현실 게임
구글글라스 같은 기기 개발 경쟁 치열해질 것
950만 미국인이 즐기는 스마트폰 게임인 '포켓몬 고'를 둘러싼 논쟁 중 가장 흥미로운 대목은 이 게임이 과연 진정한 의미의 증강현실인지 여부다. 사실 기술적 잣대를 엄밀히 적용하면 포켓몬 고는 증강현실 게임이 아니다.
1997년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에서 발간한 AR리뷰에서는 증강현실을 "3D 가상현실 물체가 3D 현실 환경에 실시간으로 접목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그러나 포켓몬 고에 출현하는 포켓몬 형상들은 3D로 구현되지 않는다. 게이머들은 카메라가 비추는 모습 위에 포켓몬이 겹쳐진 모습을 보곤 한다. 스마트폰 화면 속 지도를 보다가 화면을 툭툭 건드려 카메라 촬영 위치를 바꾸는 방식이다.
게임 속 캐릭터들이 사용자의 애완동물 위에 올라타 있는 것과 같은 재미있는 스크린샷도 속속 온라인에 올라오고 있는데, 이는 진정한 의미의 증강현실이 아니다. 시그나벤처의 서니 딜런은 "포켓몬고에 증강현실이 포함됐다면 실시간 지도 구현 기술과 물체 인식 기술로 게임 캐릭터가 당신의 애완동물 위에 올라가 있는 모습은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마크 그레이엄 옥스퍼드대 교수와 매슈 죽 켄터키대 교수 등은 "증강현실은 기술·정보·코드 등을 통해 현실과 가상현실이 합쳐지고, 이에 따른 형상이 특정 공간과 시간 속에서 구현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에 따르면 구글맵이나 레스토랑 리뷰 서비스인 옐프(Yelp) 또한 증강현실로 분류될 수 있다. 친숙하지 않은 이름을 찾아볼 때 쓰는 위키피디아도 마찬가지로 증강현실이다.
<중략>
물론 증강현실이나 가상현실을 즐기기 위해서는 아직 비용이 많이 든다. 멀지 않은 미래에 언제나 손쉽게 휴대할 수 있는 증강현실 기기가 나올 때까지는 거추장스러운 헤드셋을 써야 한다.
투자은행 도이체방크는 포켓몬 고 출시 이후 닌텐도(닌텐도는 포켓몬스터 캐릭터의 저작권을 소유하고 있다)의 주가 상승이 과도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투자자들은 원래 미래 가능성에 대해 과민하게 반응하는 법이다. 또 포켓몬고 열풍은 사람들이 얼마나 증강현실에 대해 열광하는지를 보여준다. 이는 구글 글라스가 현실과 동떨어진 제품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는 중요한 신호이기도 하다.
..이하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차 산업혁명] 포켓몬 고 열풍...‘서말 구슬’도 꿰지 못한 한국 IT, 또 뒷북 (0) | 2016.07.24 |
---|---|
레이 커즈와일 "2030년대, 뇌에 나노봇 넣어 컴퓨터에 연결하는 시대 온다" (0) | 2016.07.24 |
'포켓몬 고' 개발사 나이앤틱 CEO 존 행크...증강현실(AR) 신세계 열다 (0) | 2016.07.23 |
'포켓몬 고' 성공 4대 요소...AR·소셜네트워크·크라우드소싱·킬러 콘텐츠 (0) | 2016.07.23 |
한국 조선업 탈출구, 사양산업 포기하고 'CO2 포집기술`시장에 진출해야 (0) | 2016.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