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공유·사회적 경제外

자동차 회사가 우버나 리프트 등 공유경제 업체와 손잡는 까닭

배셰태 2016. 6. 16. 06:51

[IT 칼럼]자동차회사가 공유경제와 손잡는 까닭

주간경향 2016.06.14 김국현 IT칼럼니스트·에디토이 대표

http://m.weekly.khan.co.kr/view.html?med_id=weekly&artid=201606141122291&code=116

 

자동차가 잘 팔리지 않는다고 한다. 현대차의 영업이익은 작년 같은 분기에 비해 15%나 줄어들었다. 5년간 최저치다.

 

<중략>

 

다행인지 불행인지 이는 비단 한국의 자동차 업계만의 문제가 아니다. 지난 5월 말 도요타자동차는 우버와 전격 제휴했다고 발표했다. 흥미로운 것은 도요타의 할부금융 자회사 및 관련 펀드에서 우버에 투자를 한다는 점인데, 우버 운전사에게 도요타 차를 리스하자는 것이라 한다.

 

상용차 업체가 소위 ‘공유’ 경제 업체와 손을 잡다니, 세간에서는 우버와 같은 ‘공유’ 경제가 자동차를 ‘소비’하는 일에 방해가 되리라 생각했지만 손 놓고 있을 수는 없었나 보다. 아니, 정확히는 자동차 업체들은 들이닥칠 미래를 이미 너무 잘 알고 있기에 이에 대비한 한 수일 수도 있다. 마치 마차 회사가 자동차의 미래를 봐 버린 것처럼.

 

그 근미래의 풍경에서는 자가용과 택시 대신 운전사 없는 인공지능 택시가 도로에서 더 많이 보일 것이다. 도어 투 도어로 이용할 수 있고, 분위기에 따라 차종도 고를 수 있다. 택시니까 주차도 필요 없고, 당연히 보험료도 면허도 대리기사도 필요 없다. 터치 한 번으로 내 차처럼 쓸 수 있는 차가 대령된다. 연료비가 싼 전기차인 데다가 가장 큰 비용인 기사 인건비가 없으니 사용료는 지금 택시보다 저렴해진다. 이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이 미래를 목격한 이는 도요타뿐만이 아니다. GM은 우버의 경쟁사 리프트(Lyft)에 5000억원을 투자했다.

 

<중략>

 

자동차업계의 리더들이 너도나도 우버 등등에 투자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동차를 살 만한 사람은 다 샀고, 안 산 사람도 이제는 자동차를 굳이 소유할 필요가 없어진 시대. 자동차를 사줄 사람을 늘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역발상이 하나 있다. 우버 운전사를 늘리면 된다. 전 국민이 우버 운전사가 되면 시장은 커질 수 있다. 코미디 같지만 진지하다.

 

앞으로는 직접 기사가 되어 운전을 하지 않아도 된다. 운전은 기계가 대신한다. 수익형 오피스텔 하나 분양받듯이, 가욋돈 좀 충당해 보고자 밤에 대리기사 뛰듯이, 수익형 자동운전차 하나 마련해서 일을 시키는 것이다.

 

그런 미래가 오면 사람들은 무리를 해서라도 자동차를 다시 살지도 모른다. 도요타도 GM도 폴크스바겐도 아마 그런 미래를 본 듯싶다.

 

이제 궁금한 것은 국내 자동차업체들의 상황과 생각이다. 전통적으로 소프트웨어에 대한 준비도 저변도 취약한 한국 산업, 지금 기로에 서 있다.

==============

[관련기사 참고요]

■피아트·도요타는 우버, BMW는 스쿠프… GM은 리프트와 제휴

조선일보 2016.06.15 신은진 기자

http://blog.daum.net/bstaebst/17869

 

구글·애플 등 車산업 진출 대응… 차량 공유서비스社와 합종연횡

 

전 세계 주요 자동차 회사들이 최근 첨단 기술 기업과의 합종연횡에 나서고 있다. 구글과 애플 등 IT 기업들이 자율주행차 등을 통해 자동차 산업에 진출하는 것에 대응해 자동차 회사들도 새로운 서비스 분야로 사업 확장을 꾀하고 있다.

 

<중락>

 

일본 도요타자동차도 최근 우버와의 제휴를 결정했다. 두 회사의 제휴로 도요타는 우버 드라이버에 자동차를 임대해주고 우버 드라이버는 매출의 일부를 도요타 차량 임대 비용으로 지불한다.

 

..이하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