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인공지능(AI) 시대에도 변치 않는 남성의 의식세계, 바로 ‘그녀의 역할’

배셰태 2016. 4. 17. 16:35

인공지능 시대에도 변치 않는 ‘그녀’의 몫

여성신문 2016.04.16(토) 강혜련 이화여대 경영학과 교수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310&aid=0000049721

http://www.womennews.co.kr/news/92931#.VxObYWdJnGg

.

할리우드 스타 스칼렛 요한슨의 외모를 실물 그대로 본떠 만든 휴머노이드 로봇이 개발자의 명령을 받고 윙크를 하고 있다

 

사람의 개입 없이 사물끼리 연결되고 정보를 주고받은 사물인터넷(IoT)과 만물인터넷(IoE)을 넘어 이제는 모든 것에 지능을 불어넣는 봇(Bot) 시대가 열리고 있다. 전문지식이 별로 없는 일반인들도 알파고의 승리를 보면서 인공지능의 위력과 세상이 무섭게 변하고 있음을 실감한다. 만일 로봇 알파고가 이세돌과 마주앉아 바둑을 두었다면 훨씬 더 흥미로웠을 것 같다.

 

우리 사회는 여러 차례 급격한 성장을 이루면서 발전해왔다. 하지만 지금의 변화를 주도하는 기술의 진보 중에서도 특히 인간 고유의 지각능력과 판단력을 추월하는 인지컴퓨팅 능력, 즉 인공지능의 엄청난 발달은 앞으로의 세상을 확연하게 변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MIT 인공지능연구소 소장인 로드니 브룩그는 “기계는 좀 더 인간 같아질 것이고, 인간은 좀 더 기계와 같이 될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다.

 

그런데 최첨단 기술이 인류의 삶을 송두리째 바꾸고 있지만 여전히 변하지 않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남성의 의식세계, 바로 ‘그녀의 역할’인 것 같다. 예를들어 글로벌 IT기업이 만들어낸 인공지능 비서인 애플의 시리, 아마존의 알렉사, 구글 나우, 마이크로소프트의 코르타나는 모두 여성 음성이 기본값으로 설정돼 있다.

 

그렇다면 왜 인공지능의 음성은 여성이 많을까?


<중략>

 

여성 버전의 인공지능 비서에서 한발 더 나아가 영화 ‘그녀’는 남성을 위로해 주는 존재, 즉 여자친구의 역할을 인공지능(운영체계)으로 보여줘 충격을 안겨줬다. 물론 영화 속 사만다처럼 의식을 갖춘 인공지능이 현실화되는 데는 앞으로도 10년 이상 걸릴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영화 속 상상이 속속 실현되는 것을 보면 그리 멀지 않을 것도 같다. 얼마 전 해외 뉴스에서 할리우드 스타 스칼렛 요한슨의 외모를 실물 그대로 본떠 만든 휴머노이드 로봇이 개발자의 지시에 따라 윙크하는 사진을 보면서 정말 섬뜩한 기분이 들었다.

 

사무실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서, 남성의 외로움을 달래주는 친구가 모두 여자 인공지능이어야 하는 이유는 이렇다. 일찍이 조직이론 대가인 하바드대 칸터 교수는 남성주도적 조직에서 여성에 대한 기대는 뿌리 깊은 성역할 고정관념이 작용한다고 주장했다. 대다수 남자는 조직에서 여성을 대할 때 그녀가 다음의 세 가지 역할 중 어느 것에 부합하는지를 따져본다는 것이다. 즉 자신을 위해 모든 것을 헌신해주었던 ‘어머니’, 결혼 후에는 모든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아내’, 그리고 기쁨과 즐거움을 주는 ‘딸’. 이 세 가지 역할 중 하나라도 부합하면 그녀는 ‘여성스러움’ 기준을 통과한다. 하지만 만일 그녀가 이 세 가지 중 어떤 것도 제공해 주지 못한다면 한마디로 ‘여자’가 아닌 낯설고 불편한 ‘위협적 존재’일 뿐이다.

 

어떤 학자가 말하길 우주가 탄생하고 우주 속 생명체가 탄생한 이후, 이에 버금갈만한 대 사건이 인공지능의 탄생이라 했다. 인류 역사를 바꿀 만큼 새로운 시대가 열리고 있건만 헌신과 서비스, 즐거움 제공은 ‘그녀의 몫’인 것이다. 인간의 뇌를 모방한 인공지능과 이를 탑재한 로봇이 만들어지고 있지만 이를 어디다 쓸 것인지에 관한 문제는 인류에 남겨진 숙제다.


..이하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