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기술기업 '넷플릭스'가 한국에서 성공할 수밖에 없는 이유

배셰태 2016. 2. 21. 13:41

넷플릭스가 한국에서 성공할 이유

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2016.02.20(토) 임정욱

http://estimastory.com/2016/02/20/netflix/

 

 

넷플릭스가 한국시장에 1월6일 처음 상륙한지 한달이 지났다. 첫 한달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어서 호기심에 가입해본 사람들이 많을텐데 이제 두번째달부터는 유료로 전환됐다. 한달 사용요금은 화질이나 동시시청가능여부에 따라 미화 8불에서 12불사이다. 역시 한달에 만원 내외하는 한국의 경쟁서비스에 비해 그리 비싼 가격은 아니다. 하지만 처음에는 콘텐츠가 빈약하다고 비판을 받았다. 한국영화나 드라마 등 한국콘텐츠가 크게 부족하며 빅뱅이론이나 모던패밀리 등 보통 사람들에게 잘 알려진 미국드라마도 많지 않다. 미드골수팬이 아닌 일반대중이 넷플릭스에 접근하기는 쉽지 않다는 얘기다.

 

하지만 미국에서 넷플릭스를 오랫동안 사용해 본 사람으로서 나는 결국 넷플릭스가 한국시장에서 자리를 잡을 것으로 생각한다. 나는 2001년 미국 유학시절 당시 DVD우편대여서비스를 하던 넷플릭스를 우연히 알게 되어 처음 고객이 됐다. 그리고 한국에 돌아왔다가 다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미국에 거주하는 동안 인터넷 VOD서비스로 변신한 넷플릭스를 꾸준히 이용해 왔다.

 

지난 15년간 내가 지켜본 넷플릭스는 수없이 회사가 망할 수도 있는 위기를 돌파하며 미디어업계의 패러다임을 바꿔나간 혁신기업이다. CEO 리드 헤이스팅스의 초지일관 비전과 직원을 프로야구선수처럼 대하는 독특한 조직운영이 이 회사가 지금까지 온갖 우여곡절을 겪으면서도 결국 승승장구할 수 있도록 했다. 한국에서 넷플릭스가 ‘찻잔속의 태풍’이 될 것이라는 시각도 있지만 나는 결국 장기적으로 넷플릭스가 유튜브처럼 한국시장에서 자리잡을 것으로 생각한다.

 

다음은 내가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다.

 

첫번째 이유는 넷플릭스는 단기승부에 연연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중략>

 

두번째는 압도적인 사용의 편이성이다. 넷플릭스는 결제하는데 액티브X도 필요없고 한번 로그인해두면 다음부터 아이디, 패스워드를 귀찮게 다시 물어보지도 않는다. 스마트폰이든, 타블렛이든, 랩탑컴퓨터든 어디서 어떤 브라우저로 봐도 잘 재생된다. 여러 기기를 옮겨가면서 봐도 이전 기기에서 보던 장면에서 그대로 이어져서 편리하다. 광고도 전혀 없다. 이런 편리함을 경험한 한국고객들은 한번 가입하면 넷플릭스를 잘 빠져나가지 않을 것이다.

 

 

세번째는 다양한 넷플릭스 독점콘텐츠다.

 

<중략>

 

네번째는 결국 젊은 세대의 TV시청 습관이 실시간시청에서 보고 싶을때 즉시 보는 온디맨드시청으로 바뀔 것이기 때문이다. 미국에서는 이미 어린 아이들이 TV와 넷플릭스를 동일시한다는 얘기도 있다. 유튜브가 한국에서 자리잡은 것처럼 넷플릭스도 결국 자리를 잡게 될 것이다. 시간문제다.

 

어쨌든 넷플릭스의 한국진출은 침체된 한국의 콘텐츠산업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새로운 글로벌TV네트워크로 부상하고 있는 넷플릭스플랫폼을 잘 활용하면 한국콘텐츠를 세계로 유통시킬 기회를 얻을 수 있다. 강남스타일이 유튜브를 타고 전세계를 휩쓸었던 것처럼 한국영화나 드라마가 넷플릭스를 타고 글로벌하게 인기를 얻을 수도 있다는 얘기다. 또 넷플릭스는 매너리즘에 빠진 국내 방송시장이나 인터넷동영상시장에 좋은 자극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국내 사용자들이 불편한 불법다운로드서비스를 이용하기 보다는 넷플릭스 같은 정액제서비스를 이용하게 함으로서 동영상 불법복제시장이 줄어드는 효과가 생길 수도 있다. 넷플릭스의 한국진출이 한국콘텐츠산업계에는 위협이 아니라 오히려 기회라고 내가 생각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