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스마트폰 OS 점유율, 안드로이드↓ iOS↑
이데일리 2016.02.21(일) 김현아 기자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001&oid=018&aid=0003481800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E31&newsid=01305446612552816&DCD=A00503&OutLnkChk=Y
국내 스마트폰 운영체제(OS) 점유율이 구글 안드로이드는 감소한 반면, 애플 iOS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하지만 여전히 우리나라는 구글 안드로이드 사용자가 76.70%를 차지해 전 세계 평균인 65.73%를 앞섰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스마트폰, 웹페이지 이용자의 운영체제(OS)와 웹브라우저를 조사한 ‘2015년 하반기 국내 인터넷 이용환경 현황 조사’ 결과에 따르면 스마트폰 OS에서 구글 안드로이드(Android, Chrome)는 2014년 하반기 대비 7.41% 포인트가 줄어 76.70%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중략>
StatCounter.com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기준으로는 안드로이드가 65.7%, 애플 iOS가 19.30%, 윈도우 ·샤오미 미유아이(MiUI)등이 속한 기타가 14.97%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안드로이드가 76.70%, iOS가 23.05%, 기타가 0.25%였다.
<중략>
▲스마트폰 웹브라우저와 운영체제 점유율 조사(출처: 한국인터넷진흥원)
<중략>
한편 이번 조사에서 국내 PC 이용자 10명 중 6명은 기술지원이 중단된 마이크로소프트의 구형 인터넷 익스플로러(IE)를 여전히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버전의 IE에선 보안 업데이트를 받을 수 없어 각종 보안 위협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
마이크로소프트가 2016년 1월 13일 오전 2시(한국시간)에 IE 구버전 지원을 중단, 윈도우7 및 윈도우8 OS 이용자들은 IE 11 업그레이드를 해야 한다. 또 윈도우 XP 이용자들은 보안 지원이 가능한 새로운 운영체제를 설치해야 한다.
이번 조사의 자세한 통계 결과는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운영하는 사이트(www.koreahtml5.kr)에서 22일 오전 10시이후 공개된다.
▲MS 기술중단 구버전 IE 국내 사용률(출처: 한국인터넷진흥원)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융․복합의 시대] 이동통신사의 위기와 미래 (0) | 2016.02.21 |
---|---|
기술기업 '넷플릭스'가 한국에서 성공할 수밖에 없는 이유 (0) | 2016.02.21 |
구글, 고속 뉴스 플랫폼 ‘액셀러레이트 모바일 페이지(AMP)' 이달 말 출시 (0) | 2016.02.19 |
글로벌 IT업계 장악한 미국의 온라인 플랫폼 기업...'FANG'의 시대가 열렸다 (0) | 2016.02.19 |
페이스북, 뉴스 서비스 '인스턴트 아티클' 올해 4월에 완전 개방 (0) | 2016.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