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의 내일' 한국은 안보인다
조선일보 2016.01.13(수) 라스베이거스(미국)=강동철 기자 |
http://m.chosun.com/svc/article.html?sname=news&contid=2016011300461
지난 6~9일 세계 최대의 IT(정보 기술) 전시회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2016'이 열린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 수많은 관람객으로 붐비는 현장 가운데서도 유독 길게 줄이 늘어선 곳이 있었다. 미국의 가상현실(VR) 기기 업체 '오큘러스' 전시관이었다. 한번 입장하려면 최소 10~15분은 기다려야 할 정도였다. 이 회사는 미국 영화사 '21세기 폭스'와 함께 SF(공상과학) 영화 '마션'의 가상 현실 버전을 공개했다.
가상현실 기기를 머리에 덮어쓰면 사용자는 화성에 불시착한 우주인이 된다. 고개를 숙이면 황량하고 붉은 화성의 땅바닥이 보이고, 머리를 들면 모래 바람이 몰려오는 장면이 눈앞에 펼쳐진다. 체험하는 20여분 동안 화성으로 우주여행을 다녀온 듯 생생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음악에 맞춰 춤추는 드론들 - 6∼9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6’에서 프랑스 업체 ‘패럿’이 선보인 드론(무인기) 공연을 보느라 관람객들이 몰려있다. 세계 2위 드론 업체인 패럿은 음악 소리에 맞춰 작은 드론들이 춤추고 공연하는 모습을 선보여 인기를 끌었다. /블룸버그
근처에 있는 세계 2위 드론(무인기) 업체인 프랑스 '패럿' 전시관에서도 관람객들의 탄성이 터졌다. 작은 드론 10여 대가 오케스트라 반주에 맞춰 군무(群舞)를 추는 공연을 선보였다. 2014년 창업한 중국 벤처업체 'e항'(eHang)은 아예 사람을 태우고 목적지까지 자율 주행하는 '비행 택시'를 세계 최초로 선보였다.
올해 CES의 핵심 키워드는 '가상현실·드론·전기차'로 요약할 수 있다. 글로벌 업체와 신생 벤처기업들은 일제히 관련 기술을 선보였다. 하지만 이 무대에서 한국 업체들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그동안 한국은 세계 IT 산업의 선두 주자로 꼽혀 왔다. 올해 CES에도 삼성전자와 LG전자는 TV·냉장고·에어컨 등 전통 가전제품을 전시하는 '센트럴홀'에 수백억원을 들여 가장 큰 부스를 차렸다. 하지만 미국·중국·이스라엘 등 해외 업체들은 이보다 규모는 작아도 미래를 확 바꿀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치열한 속도전을 펼쳤다.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 10~20년 뒤 미래 IT 산업에서는 한국의 설 자리가 없을 수도 있다는 의미다.
<중략>
<중략>
내비게이션(길 안내) 서비스 '김기사'로 유명한 벤처기업 '록앤올'의 박종환 대표는 CES를 둘러본 뒤 "한국 업체들은 기존 가전사업에 집중할 때 해외 업체들은 새로운 먹거리를 발굴하는 모습을 봤다"며 "기업들이 안주하지 말고 미래 산업 발굴에 더 신경써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온리` 사용자 증가...이젠 톡(Talk)하지 않고 탭(Tap)한다 (0) | 2016.01.13 |
---|---|
트위터, 실시간 동영상 자동 재생 서비스 `페리스코프` 출시 (0) | 2016.01.13 |
[온디맨드 전략] 로엔(멜론) 인수한 카카오…산업 경쟁력 무한확장 (0) | 2016.01.13 |
[중국 IT 기업 열전] 텐센트, 금융·드론까지...사업 영역 확장해 생태계 구축 (0) | 2016.01.12 |
카카오, 국내 음악 서비스 1위 '로엔(멜론)'을 1조 8,700억 원에 인수 (0) | 2016.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