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먼즈 개념과 자본주의의 미래 (요하이 벤클러): 1. ‘공유경제’와 전 지구적 불평등
슬로우뉴스 2016.01.11(월) 번역=신하영
이 글은 CC 글로벌 써밋 2015에서 행한 요하이 벤클러 교수를 슬로우뉴스 원칙에 맞게 다시 편집해 3편으로 나눈 것이다. (편집자)
1.커먼즈 개념과 자본주의의 미래 : ‘공유경제’와 전 지구적 불평등
2.커먼즈 개념과 자본주의의 미래 : 곧 발행 예정
3 커먼즈 개념과 자본주의의 미래 : 곧 발행 예정
요하이 벤클러, CC 글로벌 써밋 2015 (출처:CCKorea, CC BY)
============
1.커먼즈 개념과 자본주의의 미래 : ‘공유경제’와 전 지구적 불평등
이 자리에 서게 되어 큰 영광이고 긴장이 좀 되네요. 윤종수 프로젝트 리드가 우리에게 이미 친숙한 주제를 멋지게 다루어 준 덕분에 마치 제가 예전부터 함께해 온 가족으로 이 자리에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놀랍게도 이 자리에 와 준 래리(로렌스 “래리” 레식, Lawrence “Larry” Lessig; 1961년 ~ 현재, 사진)을 보니 여러분이 제 얘기보다는 그의 얘기를 더 듣고 싶어 하실 것 같습니다. 오랜 친구를 만나니 저도 정말 기쁘네요.
그동안 크리에이티브 커먼즈가 어떻게 더 깊이 있고 광범위한 방식으로 세상을 바꾸어왔는지를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리고 먼저 제가 하려는 것은 그동안 여러분이 해 왔던 엄청난 일들과 우리가 자본주의의 미래 전반에 대해서 마주한 폭넓은 논의를 특히 사회적 환경, 불평등, 정치적인 행태들과 연결하는 것입니다. 이 주제는 래리도 평생을 바쳐 지금도 싸우고 있는 문제죠.
우리가 이 귀여운 아이 이미지를 아이 엄마의 불안 없이 어떻게 얻을 수 있고 그 엄마도 두려움 없이 아이가 춤추는 귀여운 동영상을 업로드 할 수 있을까요? 자본주의의 미래와 관련지어서 어떻게 우리가 이것들을 연결할 수 있을까요?
이 얘기를 하기 전에 저와 여러분이 먼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한국을 처음 방문한 제가, 서울의 거리를 걷고 지하철을 타고 호텔에서 여기까지 오는 모든 과정에서 엄청난 시장 가치의 성장을 깨닫지 않기란 거의 불가능했다는 겁니다. 그걸 그냥 무시해 버린다는 건 불가능합니다.
불평등 심화는 ‘자동화의 일부’
<중략>
0.1%에게 집중하는 부
<중략>
‘공유경제’는 공유가 아닌 착취
<중략>
인간의 개념
<중략>
신자유주의 vs. 공유재
<중략>
공유재는 시장에 필수적인 요소
..이하 전략
- 2년마다 개최되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글로벌 써밋(Creative Commons Global Summit)은 전 세계 CC 활동가들과 열린 문화를 지지하고 실천하는 각계각층의 전문가, 학자, 활동가들이 함께 모이는 자리다.
요하이 벤클러는 [네트워크의 부] (2006)의 저자로 네트워크된 환경에서 공동의 접근 방식에 초점을 맞춰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와 위키 백과 등 공유를 기반으로 한 ‘동료생산’이라는 용어를 처음 만든 학자로 커뮤니케이션 이론, 사이버법 정책, 지식접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기술 혁신, 무선통신 정책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저명한 법학자다. 하버드대학교 로스쿨을 졸업하고 미국 연방대법원 재판연구관을 거쳐 뉴욕대학교 로스쿨 교수과 예일대학교 로스쿨 교수를 지냈다. 하버드대학교 로스쿨 버크만센터에서 미국 연방통신위원회에 브로드밴드 정책을 조언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국가의 과도한 감시 활동이 정보의 흐름과 시민적 자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내놓고 있다.
==================
네트워크의 부
- 사회적 생산은 시장과 자유를 어떻게 바꾸는가
요하이 벤클러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펴냄 | 2015.04.01 출간
http://blog.daum.net/bstaebst/14742
[책소개]
사회적 생산이란? 시장에 의존하지 않고 이루어지는 생산이다. 어떻게 가능한가?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동료생산을 통해서다. 어떤 변화를 기대하나? 비전유적 공유재 생산으로 사회적 부가 늘어나고, 네트워크 공론장을 활성화시켜 정치적 자유와 민주적 담론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이다. ‘동료생산’이란 말을 처음 만든 하버드대학교 로스쿨 교수가 네트워크 정보경제에 대한 광범한 이해와 통찰력을 제시한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털도 공유하는 시대...콤피아, 공유경제형 키워드포털 '꿀업' 런칭 (0) | 2016.01.12 |
---|---|
[공유경제] OECD, 공유차량 도입시 도시의 이산화탄소(CO2) 배출량 30%↓ (0) | 2016.01.12 |
[하이브리드 경제 시대] 2016년 전자정부에 영향을 미칠 10대 기술트렌드 (0) | 2016.01.11 |
삼성전자도 움찔한 '공유경제'...저성장 경제하에서 급격히 확산 예상 (0) | 2016.01.09 |
공유경제, EU 의회 지지로 탄력 받나...국내 기업도 시장공략 검토 필요해 (0) | 2016.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