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도 움찔한 '공유경제', 도대체 뭐길래…
머니투데이 2016.01.09(토) 김태형 이코노미스트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6010811355011081&outlink=1
[같은생각 다른느낌]찬반 논란 속 저성장경제하 급격한 확산 예상
최근 개인 소유를 기반으로 한 전통적인 자본주의 시장에서 새로운 개념의 공유경제(Sharing Economy)가 메가트렌드로 급부상하고 있다. 심지어 지난 4일 삼성전자 시무식에서 권오현 부회장은 급변하는 IT업계 현실에서 새로운 경쟁의 판을 주도할 역량과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며 공유경제를 언급할 정도다. 그럼 공유경제란 도대체 뭐길래 삼성전자 시무식에서 특별히 언급됐을까. 공유경제는 2008년 등장한 협력적 소비(Collaborative Consumption) 개념을 원천으로, 2010년 하버드 법대 로렌스 레식 교수가 공유경제를 주장하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공유의 가치가 급격히 떠오른 것은 전 세계적인 경제성장률 저하로 적은 비용으로 더 많은 효용을 얻고자 하는 소비자 욕구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인터넷, 스마트폰 이용증가와 ICT산업의 발달이 기술적 접근을 용이하게 만들었다. 공유경제는 수요자와 공급자 그리고 이를 컨트롤하는 플랫폼 사업자의 3각 관계를 기본으로 한다. 플랫폼 사업자는 양측 또는 어느 한쪽에 플랫폼 이용료를 부과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한다. 이것은 유통경로를 줄여 직접 개인과 개인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수익을 얻는 모델이며, 남아도는 자원과 서비스를 집약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시스템이기도 하다. 현재 카쉐어링의 우버(Uber)와 숙박공유의 에어비앤비(Airbnb)가 대표적인 공유경제 모델로 자리잡았고 이제는 집과 사무실 쉐어링, 옷과 장난감 나눠쓰기, 주차장 공유 등 다양한 일상생활 분야로 확산되고 있다. <중략>
경제학자 제레미 리프킨은 공유경제를 "생태학적으로 가장 효율적이며 지속 가능한 경제로 가는 지름길"로 예찬했다. |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먼즈 개념과 자본주의의 미래] ‘공유경제’와 전 지구적 불평등 (0) | 2016.01.12 |
---|---|
[하이브리드 경제 시대] 2016년 전자정부에 영향을 미칠 10대 기술트렌드 (0) | 2016.01.11 |
공유경제, EU 의회 지지로 탄력 받나...국내 기업도 시장공략 검토 필요해 (0) | 2016.01.09 |
일본, 공유경제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0) | 2016.01.09 |
공유경제 등... 달리보면 한국 경제 기회는 많다 (0) | 2016.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