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국내 IT 서비스 분야의 쌍두마차, 네이버·카카오...새해 경영 키워드는 '연결'

배셰태 2016. 1. 4. 21:56

네이버·카카오, 새해 경영 키워드는 '연결'

뉴시스 2016.01.04(월) 장윤희 기자

http://m.news.naver.com/read.nhn?sid1=105&oid=003&aid=0006963577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103_0013814406&cID=10401&pID=10400

 

온라인과 오프라인사업의 연계 강화

네이버, 검색 서비스 개편·쇼핑 확대

카카오,대리운전·인터넷은행업 진출

 

 

국내 정보기술(IT) 서비스 분야의 쌍두마차 네이버와 카카오가 올해는 '연결(CONNECT)'에 초점을 맞춰 사업을 확대한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경계를 넘나드는 실시간 맞춤형 서비스로 수익을 극대화하는 한편 경쟁력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네이버는 지난해 11월 17일 '네이버 커넥트 2015' 행사를 열고 앞으로의 사업 방향을 발표했다. 네이버의 전략 키워드는 '연결(CONNECT)와 '실시간(LIVE)'이다.

 

<중략>

 

 

<중략>

 

김상헌 네이버 대표는 네이버 커넥트 발표회에서 "모바일 시대에서 시시각각 변하는 이용자 수요에 맞춰 최적화된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것"이라며 "쇼핑, 라이브 검색, 동영상 등 라이브 모바일 생태계를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구글과 페이스북 등 글로벌 업체들이 정체가 모호할 정도로 온오프라인에서 사업을 확장하고 있고 스타트업의 성장도 무섭다"며 "웹툰을 비롯한 4~5개 서비스 해외 진출을 동시다발적으로 추진하며 글로벌 사업 역량을 키워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카카오는 카카오택시의 성공을 바탕으로 본격적인 O2O(온오프라인 연계) 수익 창출에 나선다.

 

카카오는 매 분기마다 신규 O2O 사업을 발표할 예정이다. 임지훈 카카오 대표는 최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콘텐츠, 검색, 게임, 광고, 금융 등 모든 실물경제를 모바일로 연결하는 세상을 만들 것"이라며 "모바일을 기반으로 사람과 서비스를 연결해 가치를 제공하는 온디맨드(On-Demand·수요지향형 사업)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는 이르면 올 하반기부터 운영을 시작한다. '손 안의 은행'을 표방한 카카오뱅크는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금융권 데이터·온라인 상거래·소셜네크워크서비스(SNS) 연계 신용평가를 통한 중금리 대출 서비스를 선보인다.

 

대리운전 서비스 '카카오 드라이버'도 진통 끝에 올 상반기중 정식 출시된다. 카카오 드라이버는 택시처럼 전용 앱을 통해 기사와 승객을 연결하는 구조다.

 

업계에서는 카카오가 대리운전에 진출하면 연간 1000억원의 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카카오 드라이버는 실적 부진에 빠진 카카오의 대표적 수익 모델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다만 카카오가 기존 대리운전사업자들과 어떻게 공생하느냐가 카카오 드라이버의 안착 여부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