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신년기획 - 과학이 미래다] IBM 이어 구글·애플까지…'미래 캐시카우' AI 시장에 뛰어들다
머니투데이 2016.01.04(월) 김지민 기자
http://m.mt.co.kr/renew/view.html?no=2015121508163787394&type=outlink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5121508163787394&outlink=1
[AI·로봇이 밀려온다]<2-1>IoT·컴퓨팅파워 발달로 AI 재부상…"모바일 OS 뛰어넘는 파급력 가져올 것"
편집자주 | 기계가 모든 것을 대체하는 시대가 올까. 얼마전까지만해도 명확한 답변을 못 내린 이 질문에 이젠 “그럴 수 있다”는 쪽에 가깝게 다가서고 있다. 전문가들은 ‘도구적 인간의 마지막 발명품’이라 부르는 ‘인공지능(AI)’를 올해 ICT(정보통신기술)계 화두로 꼽는다. AI가 인간을 도울 것이라는 낙관과 인간의 자리를 차지할 것이란 비관이 교차한다. 확실한 것은 AI와 이를 기반으로 한 ‘지능형 로봇’의 활약은 시간문제라는 것이다. 기업들은 빅데이터와 머신러닝 등으로 훈련시킨 AI로 시장 패권에 도전장을 던지고 있다. 이들은 이전보다 더 편리한 서비스로 소비자들을 유혹한다. 다른 한편에선 인간이 AI에 밀려 무능한 존재로 전락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피할 수 없는 AI 시대, 우리는 어떻게 맞이하게 될까.
/사진=인공지능(AI) 솔루션을 적용한 운영체제(OS)와 사랑에 빠진 남성의 얘기를 다룬 영화 'HER'. 사만다라는 이름의 OS는 음성인식, 딥러닝 등의 AI 기술을 통해 남자 주인공과 교감한다. (HER 화면 캡쳐)
<중략>
OS와 사랑에 빠진 인간의 모습을 그린 영화 '그녀(Her)'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AI)이 물질 세계를 넘어 인간 감정의 영역까지 파고들어 올 수 있다는 점을 얘기한다.
'기계를 인간 행동 지식에서와 같이 행동하게 만드는 것'. 인간처럼 생각하고 행동하게 하는 마술과 같은 신기술, 인공지능을 창시한 인지 과학자 존 매카시(John McCarthy)가 AI에 대해 내린 정의다. AI가 의료, 교육, 금융 등 산업 전반으로 활용이 본격화되는 단계에 도달하면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전 세계 1위 통신장비업체 에릭슨이 매년 발표하는 컨슈머 랩 트렌드 보고서는 "소비자들은 AI를 활용해 멀지 않은 미래에 스마트폰 스크린을 보지 않고도 사물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전문가들은 올해가 안드로이드, iOS와 같은 모바일 OS에 버금가는 OS로서 AI가 상용화되는 원년이 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빅데이터와 컴퓨팅 파워가 이끈 AI의 재등장…AI시장, 2024년까지 연평균 56.1%씩 성장
/그래픽=김지영 디자이너
1956년 학문으로 출발한 AI는 1965년 엑스퍼트 시스템(Expert System)을 도입하며 관심을 받다가 1970년대부터 1980년대 초까지 지속된 1차 침체기와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의 2차 침체기를 경험한다. 두 차례의 암흑기를 겪은 AI가 재부상한 것은 1990년대 이후 언어학, 뇌과학 등의 학문과 접목되면서부터다.
<중략>
정지훈 경희사이버대 교수는 "IBM과 같은 글로벌 선도기업이 인공지능을 상용화하는 단계에 올라오면서 활용 분야는 엄청난 속도로 확대될 것"이라며 "기술력에 대한 검증이 끝나고 상용화에 나선 시점에서 앞으로 모바일 OS 이상의 파급력을 가져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래픽=김지영 디자이너
AI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면 인간 삶의 양식 자체가 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 세계 정부와 기업은 바짝 긴장하고 있다. 이들은 소프트파워로서 AI가 미칠 파급력에 주목한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2016년 트렌드를 전망한 '미래한국보고서'를 통해 "과학기술은 기술 우위에 있는 국가와 열위에 있는 국가 모두에게 생산적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점에서 공동번영의 가치를 창출하는 특성을 지닌다"며 "정치, 외교 등의 소프트 파워를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주목받으면서 공통된 가치 추구의 매개체로 활용될 수 있는 과학기술도 함께 주목받고 있다"고 진단했다.
가장 선도적인 곳은 미국이다. 개별 기업별로도 AI관련 연구를 자발적으로 진행하고 있지만 정부 차원으로도 연구개발(R&D) 정책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중략>
IBM을 비롯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페이스북, 애플 등이 AI관련 기술에 혈안이 돼 있다. 이들 모두 AI 기술 확보를 위해 전문가 영입은 물론 스타트업 인수합병(M&A)에 한창이다. 이미 관련 서비스도 출시했다.
정부와 기업이 한 마음이 돼 AI에 대한 연구에 힘을 쏟고 있지만 AI가 필연적으로 인간 일자리를 위협하는데 따른 우려도 나온다. 2013년 영국 옥스포드대학의 칼 프레이와 마이클 오스본이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미국 일자리의 약 47%가 컴퓨터에 의해 대체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이 인간을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기 때문에 기계와 협업을 하는 방식이 도입될 것으로 보이지만 결국 일하는 방식의 변화는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기계가 대신 일을 해주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다는 점은 우려되는 대목이지만, 반대로 근로시간이 줄어드는 대신 여가 시간이 늘어난다는 점에서는 오히려 고무적이라는 시각도 공존한다.
조용수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AI, 로봇 등 똑똑한 기계의 등장에 대해 인간 사회의 반응은 기대와 흥분, 불안과 공포로 엇갈린다"며 "많은 석학들의 조언대로 AI가 인류문명의 새로운 도약을 기약할지는 누구도 대답하기 어려운 문제이고 그 열쇠는 인류가 쥐고 있다"고 말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금 종말시대] 금융은 ‘컴퓨팅’…돈이 무엇인지 모르는 세상이 온다 (0) | 2016.01.05 |
---|---|
국내 IT 서비스 분야의 쌍두마차, 네이버·카카오...새해 경영 키워드는 '연결' (0) | 2016.01.04 |
[이커머스 빅뱅] 옴니채널 시대 활짝 열렸다..,온라인 생필품 구매 30% (0) | 2016.01.03 |
2015년의 신기술 6가지...초기 도입 단계 넘어 지구촌 바꿀 ‘티핑 포인트’ (0) | 2016.01.02 |
[중국 IT기업 열전] 화웨이의 질주...앞으로 2년내 스마트폰도 세계 1위 넘봐 (0) | 2016.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