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45% 미사토의 파격…애 가진 2030 이사 오면 집까지 공짜로 준다
중앙일보 2015.12.15(화)
http://mnews.joins.com/article/19247703
2일 일본 이시카와현 노미시 데라이 중앙아동관에서 초등학생들이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노미시는 인구 감소로 인해 인근 3개 마을을 흡수했다. 시 예산의 30% 이상을 육아와 보육에 쏟아붓는다. 그런 덕분에 육아 친화도시가 됐다. 일본 813개 도시 중 살기 좋은 고장 3위에 올랐다. [이시카와=신인섭 기자]
[인구 5000만 지키자] 연중기획 <1부> 저출산의 재앙 ① 일본 초고령 현장을 가다
하마다시에선 아이 돌봄 서비스
여성 75%가 마음 놓고 직업 가져
전입자에게 3000만원 주며 직업교육
1년 과정 마치면 요양보호사 일해
지난해 5월 재계·노동계·학자 등으로 구성된 ‘일본 창성(創成)회의’가 독자적인 장래 인구 추계를 발표하자 일본 열도가 충격에 휩싸였다. 이대로 가면 인구가 급격히 줄어 2040년 기초자치단체의 절반가량인 896개가 ‘소멸 가능 도시’가 될 것이라는 경고였다. 일본의 기초자치단체인 시·정·촌은 다양한 출산 장려와 인구 대책을 시행한다. 한국처럼 단순한 출산 장려 차원이 아니다. 사느냐, 죽느냐의 문제다. 출산장려금 정도에 머무르는 한국과는 차원이 다르다.
<중략>
이런 제도 덕분에 하마다시의 20~55세 여성의 75% 이상이 일자리를 갖고 있다. 하마다시는 다음달에 미혼남녀연결(?結び)센터를 연다. 구보타 쇼이치(久保田章市·64) 하마다시 시장은 “저출산은 일본 최대의 문제”라며 “일자리, 사람, 마을의 세 가지가 모두 줄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먼저 일자리를 만들어 사람이 살게 해야 마을을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특별취재팀=신성식·김기찬·박현영·박수련·이에스더·김민상·서유진·황수연·이지상·정종훈·노진호 기자, 오진주(서울대 노문4)·이지현(서울여대 국문4) 인턴기자 welfare@joongang.co.kr
◆공동 취재=한국보건사회연구원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 음식] 식품산업의 미래경쟁력은 나노식품 기술에서 나온다 (0) | 2015.12.15 |
---|---|
대학교육이 오히려 학생들을 실패하게 만든다...문제를 바로잡을 수 있는 계획 (0) | 2015.12.15 |
[일본 초고령 현장을 가다] 아이 사라진 거리, 15년 뒤 한국 풍경 (0) | 2015.12.15 |
[가계부채 대책 발표] 주택담보대출 여신심사 선진화 가이드라인 (0) | 2015.12.14 |
조순 “한국 경제, 뉴노멀이 아니라 뉴애브노멀(새로운 비정상) 상태” (0) | 2015.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