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와 카카오, 서로 다른 O2O 전략
전자신문 2015.12.08(화) 오대석 기자
http://www.etnews.com/20151208000357?m=1
<중략>이미지
네이버 O2O 플랫폼 `쇼핑 윈도` 화면
네이버와 카카오가 O2O 서비스에서 서로 다른 행보를 보인다. 네이버는 O2O 플랫폼 역할을 강화한다. 쇼핑 정보와 구매 생태계 구축으로 이용자 이탈을 막는다. 카카오는 검색보다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과 연계에 집중한다. 개별 사업에 직접 뛰어든다.
◇네이버와 카카오, O2O 놓고 서로 다른 행보
네이버는 최근 O2O 쇼핑 플랫폼 ‘쇼핑윈도’ 11월 거래액이 230억원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지난달보다 34% 증가한 수치다. 월 거래액 1억원 이상 매장 25곳은 실시간 소통 창구 ‘네이버톡톡’ 서비스를 활용했다. 뷰티윈도, 키즈윈도, 편의점 등 전문관도 늘렸다. 앞으로 오프라인 쇼핑 포스트를 중심으로 입점 분야를 넓힌다.
네이버는 검색을 중심으로 O2O 플랫폼 역할에 집중한다. 상품 정보를 찾고 주문하는 것부터 결제와 리뷰까지 모든 과정을 연결한다. 검색 등록 도구 ‘네이버 마이비즈니스’를 개선했다. 온라인으로 비즈니스 정보를 알리기 힘든 중소형 사업자를 위한 장치다. 검색 결과에 붙는 전화 연결을 개선했다. ‘네이버톡톡’ ‘네이버예약’ ‘비즈캐쳐’가 대표적이다. 네이버 지도 앱 안에 내비게이션 기능을 추가했다. 쇼핑윈도 입점 매장을 지도에 연결해 네이버페이로 구매하도록 연결한다. 사용자와 사업자가 모두 네이버 생태계 안에서 비즈니스 정보로 연결된다.
카카오는 개별 O2O 서비스를 직접 실시한다. 카카오는 지난 3월 콜택시 앱 ‘카카오택시’를 출시했다. 지난달 고급 콜택시 서비스 ‘카카오택시 블랙’도 유료로 도입했다. 내년 상반기 대리운전 서비스 ‘카카오 드라이버’도 시작한다. 제주도 감귤을 배송하는 ‘카카오파머 제주’도 시범 적용해 농산물 O2O 진출도 타진한다. 운송, 홈서비스, 배달 등 사업 영역을 넓힌다.
최세훈 카카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향후 1~2년 동안 분기마다 새로운 O2O 서비스를 1~2개씩 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O2O 사업을 통해 수익 창출을 목표로 한다. 카카오 관계자는 “카카오택시 수익모델을 놓고 검토 중”이라며 “이용자 반응 등을 고려해 신중하게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카카오 고급 콜택시 서비스 `카카오택시 블랙`
◇모바일 영향력 감소, 강점에 집중해 돌파
네이버와 카카오는 모두 O2O 서비스 목표로 모바일 영향력 확대를 꼽는다. 네이버, 다음 모바일 앱은 이용자 성장이 정체다.
<중략>
카카오는 카카오톡 플랫폼 기반 모바일 이용자를 활용하는 데 주력한다...(중략) 임지훈 카카오 대표는 기자간담회에서 “모든 실물 경제가 모바일로 들어와 다양한 O2O 사업을 검토 중”이라며 “가장 잘하는 플랫폼 안에서 이용자에게 편리성과 가치를 주는 방법을 고민한다”고 말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 모바일 커머스 전망] 모바일 온리 시대, 커머스 시장 성장 주목 (0) | 2015.12.10 |
---|---|
[2016 소셜 미디어 전망] 소셜 시장을 바꿀 5가지 이슈 (0) | 2015.12.10 |
NASA, 최신 양자컴퓨터 'D-웨이브 2X' 공개…구글 "일반 1억배 속도 확인" (0) | 2015.12.09 |
미국선 무료 '와이파이 콜링' 서비스 확산...국내 이동통신사선 도입 꺼려 (0) | 2015.12.09 |
[베인&컴퍼니` 조사] 모바일뱅킹이 대세...저물어 가는 은행 영업점 시대 (0) | 2015.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