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 공부한 삼성그룹 사장단
한국경제 2015.10.14(수) 정지은 기자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101412121
<중략>삼성은 14일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사옥에서 열린 수요 사장단 회의에 인호 고려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를 초청해 ‘금융혁명,디지털 화폐에 길을 묻다’란 주제의 강연을 들었다.
<중략>인 교수는 “비트코인 등 온라인에서 유통되는 디지털 화폐가 등장하면서 금융의 판이 완전히 바뀌었다”며 “기존 아날로그 은행이 해체되고 여윳돈이 있는 사람이 돈이 필요한 사람에게 직접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새로운 형태의 금융거래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 화폐를 기반으로 한 금융 플랫폼이 본격화되면 은행 같은 중개인 없이도 금융 거래가 활발해질 것이란 전망이다.
인 교수는 이어 “고려대 연세대 서강대 등 일부 대학에선 이런 변화를 활용하는 학자금 대출 사업 모델을 연구하기 위해 컨소시엄을 꾸렸다”며 “대출을 위한 신용평가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속 정보를 활용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하 전략
■인호 고려대 교수, 삼성 사장단 회의서…‘핀테크 학자금 대출사업 계획 중’
브릿지경제 2015.10.15(목) 강기성 기자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151015010002992
<중략>인호 교수가 말하는 핀테크 학자금 대출사업은 미들맨(은행)의 시·공간적 역할이 사라지는 것이 핵심이다.
인 교수는 “대출이란 은행을 통해 여윳돈이 가진 사람들이 돈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투자를 하고 수익을 얻는 방식인데. 핀테크를 활횽하게 되면 하나의 가상 플랫폼 안에 다(多)자간 거래가 가능해진다”며 “예를 들어 500만원을 가진 사람이 만원씩 쪼개서 각각 다른 학생들에게 돈을 빌려 줄 수 있고, 이에 따른 이자를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인 교수는 학생들의 신용평가에 대해서도 “기존 은행에서 학자금 대출 신청한 학생의 은행 거래내역, 카드 연체 내용 등의 신용도를 평가했는데. 핀테크를 이용하면, SNS, 구글같은 빅데이터 등을 이용해 학생의 신용도를 평가해 투자자가 판단할 수 있는 정확하고 유연한 대출기준을 산정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금융당국의 통제도 사라지면서 학생이 학자금을 해외송금시 수수료를 대폭 줄일 수 있다는 장점도 부각했다.
또한 인 교수는 “핀테크로 금융거래가 이뤄지면 긍정적 부정적 양면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당국의 규제가 풀리다보니 보안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지만, 반대로 개인이 자신의 정보를 공개해 더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크다”고 설명했다.
인 교수는 “무엇보다 핀테크가 금융산업에 본격 도입되면 중앙집권화된 금융권력이 지방분권화 돼 온라인상 비트코인을 이용한 미들맨이 없는 다자간 효율적인 거래가 가능해진다”고 밝혔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신러닝 특집] 딥러닝, 인공지능(AI)의 르네상스를 이끌다 (0) | 2015.10.17 |
---|---|
인공지능(AI) 어디까지 왔나...딥러닝 기술과 시장 동향 (0) | 2015.10.16 |
새로운 산업 성장 동력이 될 `모바일 헬스케어(mHealth)` 현황과 전망 (0) | 2015.10.15 |
[잠든 AI 비즈를 깨워라] ‘딥러닝’ 새 돌파구에 주목하라 (0) | 2015.10.15 |
[잠든 AI 비즈를 깨워라] ‘AI 비즈니스’ 캐시카우 쟁탈전 (0) | 2015.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