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000명이 본 대한민국 미래
한국경제 2015.10.04(일) 안재석/박종서 기자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100482791
한국경제신문이 창간 51주년(10월12일)을 앞두고 일반 국민 5000명을 대상으로 한국의 ‘희망 농도’를 측정했다. 결과는 부정적이었다. 10명 중 8명 이상이 ‘앞으로 더 나은 삶을 기대하기 힘들다’고 답했다.
한국이라는 ‘개천’에서는 이제 ‘용’이 나오긴 어렵다는 우울한 인식이다. 교수, 연구원, 대기업·중소기업 임원 등 전문가 400명의 의견도 비슷했다. 현재 한국의 경제 상황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비율은 1.0%에 불과했다.
계층 상승 가능성에 회의적
일반인 설문조사 대상자들에게 ‘서민이 중산층으로 올라가거나, 중산층이 고소득층으로 올라가는 기회가 많아질 것이다’는 명제에 동의하는지를 물었다. ‘별로 그렇지 않다’는 대답이 51.3%로 가장 많았다. ‘전혀 그렇지 않다’
<중략>
그늘진 ‘2015년 대한민국’
한국의 경제 상황에 대한 전문가들의 진단도 싸늘했다. ‘좋은 편이다’는 대답은 0.5%에 그쳤고 ‘매우 좋다’고 답한 전문가는 한 명도 없었다. 반면 ‘나쁜 편이다’(70.5%)와 ‘매우 나쁘다’(12.8%)를 합친 부정적인 대답은 83.3%에 달했다.
경제 상황이 악화된 원인은 나라 안팎에 똬리를 틀고 있었다. 청년실업과 가계부채가 문제라는 응답자가 41.4%로 가장 많았다. 신흥국 성장세 둔화와 환율 등 대외적 요인을 지목한 비율(39.3%)도 적지 않았다.
교수들은 대내 요인에서 문제를 찾는 경향(52.3%)이 높았고, 대기업 임원들은 대외 요인(52.6%)에 무게를 뒀다. 정영호 한국개발연구원(KDI) 여론분석팀장은 “직업 특징과 일선 현장의 관심사가 반영된 것”이라며 “한국 경제가 내우외환을 겪고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정부가 개혁을 추진 중인 공공 노동 교육 금융 등 ‘4대 부문’에 대한 평가는 지극히 부정적이었다.
<중략>
희망의 불씨는 살아있다
질문을 ‘대한민국 미래 전반’으로 돌리면 답변의 색깔이 달라졌다. ‘10년 후 우리나라의 미래에 대해 전반적으로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물음에 전체 설문 응답자의 55.0%는 ‘긍정적’이라고 대답했다.
부정적으로 생각한다는 의견(40.9%)보다 10%포인트 이상 높았다. 한국 사회가 시행착오를 겪겠지만 앞으로 나아갈 것이라는 믿음은 버리지 않았다.
<중략>
전문가그룹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10년 뒤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이 현재에 비해 어떻게 변할 것이라고 전망하느냐’는 물음에 전체의 49.5%가 ‘높아질 것’이라는 긍정적인 답변을 내놨다. ‘약간 낮아질 것’(18.0%) 또는 ‘매우 낮아질 것’(1.0%)이라는 부정적 의견을 훌쩍 뛰어넘었다.
전문가그룹 중에서는 대기업 임원들의 평가가 특히 후했다. ‘국제적 위상이 지금보다 높아질 것’이라는 응답이 52.0%로 집계됐다. ‘낮아질 것’이라고 본 사람들은 7.0%에 불과했다.
낙관적인 전망이 힘을 받으려면…
<중략>
어떻게 하면 한국의 미래를 일으켜 세울 수 있을까. 처방은 다양했다. 그만큼 사회 전반에 쇄신이 필요하다는 진단이다.
‘우리나라 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최우선적으로 필요한 과제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전문가그룹은 ‘신성장산업 육성’(33.5%)을 첫손에 꼽았다. 산업 현장과 맞닿아 있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임원들이 특히 새로운 성장엔진에 목말라했다.
신성장산업 육성이 필요하다고 대답한 비중은 각각 38.0%와 40.0%로 교수(29.0%)와 연구원(27.0%) 집단을 넘어섰다.
그다음으로는 일자리 창출(17.5%)이 꼽혔고 정치개혁(16.3%), 저출산·고령화 대응(14.3%), 정부 효율성 증대(9.0%) 등이 뒤를 이었다.
========
■어떻게 조사했나
한국경제 2015.10.04(일) 안재석 기자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100491781
한국경제신문은 한국리서치와 공동으로 지난달 4일부터 10일까지 1주일간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설문 대상은 5000명(일부 세부 항목은 1000명)이다. 일반적인 전국 여론조사 표본 크기인 1000명의 다섯 배다.
<중략>
이와 별개로 한국경제신문은 한국개발연구원(KDI)과 공동으로 400명의 전문가그룹에 대한 이메일 설문을 병행했다. 경제 문제 등에 대한 심층적인 진단과 구체적인 대안을 구하기 위해서다. 전문가그룹은 대학의 경제·경영학과 교수와 경제 관련 연구소 연구원, 대기업 및 중소기업 임원 100명씩으로 구성했다. 조사 대상은 KDI가 공공 정책 수립에 활용하기 위해 운영하고 있는 전문가그룹 풀(pool)에서 뽑았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는 중국에, 미래 산업은 일본에... 한국의 주력산업이 먹히기 직전이다 (0) | 2015.10.04 |
---|---|
[착한 소비의 시대] 물질 시대의 종언…영성 시대의 도래, 제5의 물결 일으킨다 (0) | 2015.10.04 |
한스 로슬링 교수 "페미니즘이 한국을 구할것...인구 변화는 순식간에 온다" (0) | 2015.10.04 |
WEF '세계 금융 경쟁력 순위' 발표....한국, 꼴치 아닌 당당하게 87위에 랭크 (0) | 2015.10.03 |
20대, 60대 생계형 창업붐이 반갑지 않은 이유 (0) | 2015.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