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쓸쓸한 노년]②노인 10명 중 6명은 연금 수령액 '0원'
이데일리 2015.09.26(토) 피용익 기자
http://m.edaily.co.kr/html/news/news.html#!economy-view-01620326609504056-E
저출산과 고령화는 대한민국이 안고 있는 가장 큰 사회 문제로 꼽힌다. 이 추세로 간다면 한국은 3년 뒤인 2018년이면 고령사회에 진입하고,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로 접어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늙어가고 있지만, 아직 고령 사회를 맞을 준비가 되어 있지는 않아 보인다. 노인 빈곤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데도, 이들에 대한 복지나 사회 안전망은 턱 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노인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이데일리가 통계청의 ‘고령화 통계’ 자료를 기반으로 노인들의 현주소를 살펴봤다. <편집자 주>
공적연금 수급자 (그래프=통계청)
노인 인구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복지 혜택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고령층 10명 중 6명은 노후 소득의 중요한 구실을 하는 연금을 전혀 못받고 있다. 연금을 받더라도 금액이 크지 않다보니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2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등 공적연금을 받는 고령자는 총 253만1000명으로 전체 고령인구의 39.6%를 차지했다.
고령자의 공적연금 수급률은 2005년에 비해 2.5배 증가한 것이지만 아직 50%에도 미치지 못했다. 대다수 노인들이 경로당이나 탑골공원을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다.
<중략>
연령대별 연금수령 비중 (그래프=통계청)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현실, 소리 없는 붕괴...추락하는 중산층에 날개는 없다 (0) | 2015.09.28 |
---|---|
밀레니얼 세대, 글로벌 금융업 트렌드 이끈다...금융회사보다 핀테크 기업 신뢰 (0) | 2015.09.27 |
스마트폰이 바보로 만든나 아니면 지식을 얻고 창의적인 일에 몰두하게하나 (0) | 2015.09.26 |
인도의 대표 수출품 ‘최고경영자’ 그들에겐 주가드(즉흥적 창의력)가 있다 (0) | 2015.09.26 |
한국공학한림원 '2035년 대한민국 미래 도전 기술 20선'을 선정, 24일 발표 (0) | 2015.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