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젊은 교사 ICT테크열풍... ‘교사 사업가’ 신조어까지
전자신문 2015.09.08(월) 김주연 기자
http://www.etnews.com/20150907000162?m=1
<중략>
미국 젊은 교사 사이에서 IT 바람이 일고 있다. 부가수익까지 창출되면서 일명 ‘교사 사업가’도 등장했다. 최근 인터넷으로 교육 방법을 공유하거나, 매매하는 트렌드가 미국 젊은 교사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7일 보도했다. 아이폰 등 전자기기를 활용해 윌리엄 셰익스피어 ‘오셀로’를 읽게 하는 교수법이 대표적이다. 이전까지 미국 교사는 스스로 교육과정을 만들어야 해 이를 계획하고 관리하는 데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
미 교육계에 부는 이 같은 테크 열풍은 2006년 설립된 ‘티처스페이티처스닷컴’ 덕분이다. 교사들끼리 교수법을 사고팔 수 있게 한 웹사이트로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 교사가 애용한다.
<중략>
테크 열풍에 동참하는 교사가 많아지면서 현지에선 ‘교사 사업가(teacherpreneur)’라는 신조어까지 나왔다.
<중략>
라우라 란다조 교사는 “처음 취미로 교수법을 올리던 교사들이 사업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애덤 프리드 티처스페이티처스닷컴 최고경영자(CEO)는 “지금까지 우리 웹 플랫폼을 거쳐 교사에게 지급된 금액은 1억7500만달러(2098억750만원)에 이른다”며 “회사 측은 건당 15% 수수료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12명 교사가 수천만건을 팔아 백만장자가 됐고 거의 300명이 넘는 교사는 10만달러 이상을 벌어들였다”며 “현재 웹사이트엔 강의계획·퀴즈·작업시트 등 170만건 자료가 평균 5달러 미만으로 올라와 있다”고 밝혔다.
이 웹사이트 인기는 교육과 기술 융합이 대세로 떠오르고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고 외신은 분석했다. 현재 미국에선 학년마다 새로운 학습 목표를 도입하는 일명 ‘공통 핵심 국가 표준’을 만들고 있다. 여기에 이 웹사이트에 올라온 툴 중 수학이나 읽기 기준을 높이는 자료가 반영됐다.
라우라 란다조 교사는 “수많은 교사가 티처스페이티처스를 신뢰하고 있다”며 “비슷한 경험이 많은 교사에게서 더 나은 교수법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 자신이 올린 툴에 다른 교사의 추가 설명이 급증하면서 블로그와 유튜브까지 활용하기 시작했다. 애덤 프리드 CEO는 “교육엔 아직 IT로 만들어낼 창조성과 혁신성이 남아 있다”고 덧붙였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존 헬스케어•금융•보험산업...10년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에 의해 붕괴 (0) | 2015.09.08 |
---|---|
점점 치맛바람이 거세질 수밖에 없는 한국 교육, 모두가 바보 되는 치킨 게임 (0) | 2015.09.08 |
박근혜 정부, 실업급여 '확대'…실직 전 임금 60%까지 올리고 기간 늘려 (0) | 2015.09.08 |
'맥킨지' 경고 "한국 기업 ‘가치 창출’이 아닌 '가치 파괴' 국면 들어섰다" (0) | 2015.09.08 |
`노동개혁` 관련 독일의 훈수 "하르츠개혁, 한국에는 절대로 맞지 않다" (0) | 2015.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