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운 `모바일 통화플랫폼` 경쟁
전자신문 2015.07.29(수) 김용주 기자
http://www.etnews.com/20150729000208?m=1
스마트폰에서 전화 거는 습관을 바꾸려는 경쟁이 치열하다. 단말기에 기본 내장된 ‘전화’ 버튼 대신 브랜드를 내건 앱으로 전화를 걸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통화플랫폼을 선점함으로써 모바일 유통채널을 확보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중략>
이동통신사와 함께 전통 유통기업, 인터넷서비스기업 등이 통화플랫폼 선점을 위한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국내 이동통신 3사도 통화플랫폼을 선점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2014년 SK텔레콤이 출시한 통화플랫폼 ‘T전화’는 현재 600만명이 사용하고 있다. KT는 스팸차단 기능에 특화된 ‘후후’를 서비스 중이고 LG유플러스는 2013년부터 ‘유와(UWA)’를 운영하고 있다. 3사는 ‘조인(Joyn)’ 등 모바일 메신저 플랫폼 전략이 실패하자 통화플랫폼으로 방향을 틀었다.
유통전문업체 움직임도 흥미롭다. 알리바바는 지난해 3월 미국 무료 영상통화 앱 업체 ‘탱고(Tango)’를 2억1500만달러에 인수했다. 텐센트가 2011년 자체 기술로 개발한 모바일 메신저 ‘위챗’은 중국에서만 5억5000만명이 넘는 가입자를 확보했다. 일본 라쿠텐은 지난해 2월 무료통화와 메신저가 가능한 ‘바이버’를 9억달러에 인수했다. 메신저 서비스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보유한 이들 앱은 통화기능을 갖춰 통화플랫폼 역할까지 넘보고 있다.
페이스북은 지난해 10월 가입자 8억명이 넘는 세계 최대 모바일 메신저 ‘와츠앱’을 무려 220억달러(25조원)에 인수했다. 와츠앱은 올해 초부터 통화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다음카카오가 운영하는 메신저서비스 카카오톡은 지난 6월 영상통화가 가능한 ‘페이스톡’을 선보였다. 기존 보이스톡에서 한 단계 진화한 모습이다. 네이버 라인은 2013년 9월부터 영상통화 기능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구글은 메신저서비스 행아웃에서 ‘다이얼러’라는 무료통화 기능을 제공 중이다.
<중략>
한 이동통신사 관계자는 “메신저 서비스 플랫폼은 인터넷 및 SNS 기업이 장악한 상황”이라며 “마지막 남은 통화플랫폼을 누가 장악하는지에 따라 모바일 유통 주도권이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음카카오가 자체개발한 '루빅스 시스템'... '개인화 뉴스' 씨앗될까? (0) | 2015.07.30 |
---|---|
테슬라, 자사 차량 보유자가 구매 추천시 인센티브 도입…입소문 마케팅 실험 (0) | 2015.07.30 |
윈도우10(windows10) 예약방법과 업그레이드 필요사양 총정리 (0) | 2015.07.29 |
MS, 29일(현지시간) 새 운영체제(OS) ‘윈도우 10’ 공개 및 무료 배포 시작 (0) | 2015.07.29 |
삼성전자, '중국 스마트폰시장 점유율' 한자릿수대 떨어지면서 5위로 추락 (0) | 2015.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