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 아이콘 혁신센터 구축 완료
연합뉴스 2015.07.22(수) 양정우 기자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7746394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7/21/0200000000AKR20150721177000017.HTML?input=1195m
10개월간 17개 지역 센터 개소…미래부 "의미있는 성과 나타나"
여전히 낮은 혁신센터 인지도 '개선 과제'
■朴대통령 "창조경제 도약 준비 마쳐…거듭 깨어나야"
뉴시스 2015.07.22(수) 박정규 기자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06654507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0722_0010178355&cID=10301&pID=10300
박근혜 대통령이 22일 오전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를 방문, 참석자들과 축하행사를 하고 있다. 조양호(왼쪽부터) 한진그룹 회장, 박인수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장, 박근혜 대통령, 유정복 인천시장,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박근혜 대통령은 22일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이 마무리된 것과 관련해 "대한민국 전체가 창조경제로 거듭 깨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낮 인천 연수구 송도컨벤시아에서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식 뒤 열린 산·학·연 오찬에서 "드디어 대한민국 창조경제가 도약할 준비를 마친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최근 우리 경제 상황을 보면 세계 경제의 성장세 둔화와 내수 부진 등으로 주력 산업은 물론 지역경제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러한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한 새로운 성장 엔진이 바로 아이디어와 신기술, 신산업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창조경제"라고 강조했다.
또 "세계적 기업들과 국제기구들도 우리 창조경제의 가능성에 주목하면서 국내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며 "바야흐로 우리나라에 제2의 창업, 벤처 붐이 형성되고 있는 것"이라고 기대했다.
박 대통령은 "이제 세계 각국은 급변하는 경제 환경과 신기술 발전에 대응해 미래 먹거리를 찾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미국의 실리콘 밸리, 이스라엘 텔아비브, 중국의 중간촌 등 세계 각국은 창의와 혁신에 기반한 창업 기업을 발굴하고 창조경제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언급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22일 오전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를 방문, 중국시장 진출을 위한 온라인 보부상(仁商) 관계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이어 "우리도 인천이 갖고 있는 뛰어난 물류 인프라와 입지 조건 위에 전담 기업인 한진과 지역 산학연의 자원과 역량을 연계한다면 인천에 특화된 창조경제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을 것"이라며 "물류와 IT기술을 융합한 스마트물류 벤처 창업을 활성화하고 미래 성장동력을 활성화하는 전진기지 역할을 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오찬에 앞서 열린 출범식에서도 "인천은 개항기부터 우리나라와 세계를 연결하는 관문으로 우리의 근대화와 경제발전에 큰 역할을 담당해 왔다"며 "인천의 우수한 인프라 기반과 지리적 강점, 글로벌 물류기업인 한진그룹의 역량을 잘 결합시켜서 우리 중소·벤처기업이 세계로 진출하는 전진기지가 돼주기를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또 "오늘 인천 혁신센터의 출범으로 지난해 9월부터 시작된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 구축이 모두 마무리됐다"면서 "고유한 특색과 장점을 갖춘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들이 각 지역별 강점과 후원 기업의 역량을 결합해 대한민국 창조경제를 선도해 나갈 수 있도록 모든 분들이 힘과 지혜를 모아 주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주요시설 시찰 뒤 창업좌담회도
<중략>
박근혜 대통령이 22일 오전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를 방문, 한진그룹 관계자로부터 한진 인천 컨테이너 터미널의 스마트물류 항만 터미널 가상화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중략>
한편 이날 인천 센터의 출범식을 끝으로 지난해 9월 대구 센터 출범 이후 대전·전북·경북·광주·충북·부산·경기·경남·강원·충남·전남·제주·세종·울산·서울에 이어 17개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모두 문을 열게 됐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등 사회적경제는 양극화 문제 해결의 씨앗 (0) | 2015.07.23 |
---|---|
창조경제혁신센터, 전숙 17개 지역 구축 완료…센터별 주요 사업 (0) | 2015.07.22 |
‘잉여의 역습’...공유경제의 전방위적 확산 (0) | 2015.07.22 |
영국 정부, 공유경제를 특화해 다룰 액션그룹을 결성하다 (0) | 2015.07.21 |
경험이 광고다...공유경제 기업 '우버'는오가닉(유기적) 광고의 대표적 사례다 (0) | 2015.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