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공유·사회적 경제外

[공유경제의 현재와 미래] 21세기 키워드는 ‘Sharing economy’ 

배셰태 2015. 7. 14. 11:11

[Cover Story 3] 21세기 키워드는 ‘공유경제(Sharing economy)’

매일경제 2015.07.13(월) 특별취재팀

http://m.news.naver.com/read.nhn?sid1=101&oid=024&aid=0000049833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668177

 

세계 각지에서 물품과 자원을 소유하지 않고 타인과 나눠 쓰는 ‘공유경제(sharing economy, 잠깐용어 참조)’ 바람이 거세게 분다.

 

자동차를 택시처럼 이용하는 우버, 빈방을 나눠 쓰는 에어비앤비, 소액 투자 모금 사이트 킥스타터 등 다양한 공유 서비스를 앞세운 기업들은 단숨에 기존 업체들을 앞지르고 있다. 공유경제 제공자는 남는 자원을 활용해 돈을 벌 수 있고, 소비자는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기존 사업자와의 갈등, 법규 위반 등 문제도 발생해 논란의 중심에 서 있기도 하다. 한국의 경우에도 각종 규제와 작은 시장 파이로 대형 공유경제 서비스 기업이 등장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매경이코노미는 창간 36주년을 맞아 공유경제의 메카로 불리는 샌프란시스코 현지 취재와 전문가 분석을 통해, 공유경제의 현재와 미래를 들여다봤다.

 

놀리느니 같이 나눠 쓰자

 

소비자 잠재수요 재발견

 

유휴자원 활용 통해 노동·자본 효율성 높여

 

탈·합법 경계선 모호, 기존 업체와 갈등도

 

<중략>

 

물건을 소유하지 않고 타인과 나눠 쓰는 ‘공유경제’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공유경제는 로렌스 레식 하버드대 법대 교수에 의해 새롭게 탄생한 개념이다. 한 번 생산된 제품을 여럿이 공유해 쓰는 협업 소비를 기본으로 한 경제를 의미한다. 쉽게 말하면 ‘나눠 쓰기’라는 뜻이다.

 

기존 렌털과 비슷해 보이지만, 공유경제 서비스는 한 사람이 아닌 다수가 공동으로 제공하는 자원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물품을 소유 개념이 아닌 서로 대여해주고 차용해주는 협업 소비를 기반으로 하며 대여자, 이용자, 공유업체 모두에 이익이 돌아가는 윈윈구조다.

 

제한적 소비자 운동에 머물던 공유경제가 대규모 서비스로 급속히 확산된 계기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다. 고용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가계부채가 증가하면서 중산층 붕괴가 가시화된 게 물꼬가 됐다. 직접 일거리와 소득원을 만들어내려는 공급자들과 저렴하면서도 독특한 물건이나 서비스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이해가 맞아떨어진 덕분이다.

 

무엇보다 이 시기 집중적으로 보급된 스마트폰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의 역할이 컸다. 사용자끼리 직접 소통하고 필요한 물건을 주고받으며 시장이 급성장한 것.

 

미래학자 제레미 리프킨은 그의 책 ‘한계비용 제로 사회’에서 “ ‘협력적 공유사회’가 새 경제 패러다임으로 등장하고 있다”며 “미국인 40%가량이 다양한 방법으로 이미 공유경제에 참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매솔루션에 따르면 세계 공유경제 시장은 지난해 100억달러를 넘어섰다(그래프 참조). 컨설팅업체인 PwC는 2025년까지 세계 공유경제 시장이 3350억달러(약 370조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급부상

 

IT 기술 바탕 100억달러 시장

 

국내는 아직도 시작 단계 불과

 

<중략>

 

공유경제가 기존의 소유경제와 차별화되는 점은 구매를 포기한 고객군을 끌어들이고 유휴자원을 통해 다중의 시장 참여를 독려, 결과적으로 시장 전체 파이를 키울 수 있다는 점이다.

 

순다라라잔 뉴욕대 스턴경영대학원 교수는 “공유경제로 인해 개인 간 거래가 활성화되면서 노동과 자본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게 됐다. 소비자와 판매자의 경계가 무너진 게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활용되지 못했던 빈방, 자동차 등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면서 가치를 생산하고 효율성이 높아진다는 의미다. 노인, 비취업자, 주부 등 비경제 계층의 시장 참여율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생산된 제품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어 자원 낭비가 줄어들고, 소비자가 다른 사람의 물건을 공유함으로써 아낀 돈만큼 새로운 소비를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처럼 공유경제가 상품 자체가 아니라 재화를 이용하는 ‘방법’을 바꾸는 등 경제 생태계에 지각변동을 일으키자 기존 소유기업들도 공유 기업에 투자하거나 아예 공유 서비스 모델을 만드는 방식으로 변화에 합류하기 시작했다. BMW와 폭스바겐은 M&A나 협력을 통해 카셰어링 서비스를 시작했다. 대형 렌터카업체 에이비스(Avis)는 자동차 공유 서비스 기업 집카를 인수했고 어도비는 사진 공유서비스 포토리아를 사들였다.

 

공유경제 서비스가 급성장하고 있지만 여전히 갈 길은 멀다. 일부 지역에서는 공유경제 모델이 법적으로 보호받기 어려운 실정인데다, 앱상에서 이뤄지는 거래로 지하경제의 규모를 키울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더욱이 공유경제를 앞세운 신생 서비스가 기존 유사사업과 충돌하면서 반발을 불러일으키는 게 가장 문제다. 우버와 택시업체 간 갈등이 대표적이다.

 

 

<중략>

 

한국에서의 공유경제 서비스는 이제 시작 단계다.

 

<중략>

 

이병태 카이스트 경영대 교수는 “미국에선 공유경제를 중심으로 ‘골드러시’가 일어나고 있지만 한국에선 우버가 퇴출됐다.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지면 혁신 속도에 뒤처질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우버와 유사한 카카오택시를 선보인 다음카카오 관계자도 “공유경제는 IT 산업이 나아갈 방향이지만 국내에서는 규제 때문에 어정쩡한 상황에 머물고 있다. 기존 산업과 양립할 수 있도록 공유경제를 제도권으로 끌어들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국내 공유경제 기업을 육성시키지 않으면 이 같은 수요를 외국 기업에 뺏길 수밖에 없다”며 안타까움을 토로한다.

 

여러 가지 잡음이 나오고는 있지만, 그럼에도 공유경제 모델은 여전히 매력적이다. 미국, 유럽 등에선 자국 산업 여건과 사회적 인식 등을 고려해 새로운 법과 제도를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기존 산업과의 양립을 추구한다.

 

성낙환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기존 제도나 서비스가 해결해주지 못했던 소비자의 다양한 수요를 공유경제 서비스가 합리적인 가격으로 충족시켜주면 소비자 선택의 폭과 효용은 커질 수밖에 없다. 소비자들의 사용 경험이 축적되면 관련 제도도 보완될 것”이라며 긍정적으로 전망한다.

 

잠깐용어 *공유경제(sharingeconomy)

 

..이하 전략

 

[특별취재팀 : 김병수(팀장)·강승태·정다운 기자 / 일러스트 : 김민지]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1815호 (2015.07.08~07.14일자)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