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형은행 속속 '우버'에 구애 손짓 눈길
연합뉴스 2015.07.11(토) 뉴욕=이강원 특파원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7723224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7/11/0200000000AKR20150711006600072.HTML
파리 택시기사들 '우버' 항의 파업시위
우버 기업공개 앞두고 "직원들에게 우버 이용" 독려
세계 각국에서 찬반 또는 불법영업 논란이 끊이지 않는 차량공유서비스 '우버'가 우군을 만났다. 구체적 시기가 정해지지는 않았지만, 조만간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미국의 대형 투자은행들이 앞다퉈 우버의 실체를 인정하며 구애의 손짓을 보내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일간 뉴욕타임스는 10일(현지시간) 미국 최대은행인 JP모건체이스 가 자사 직원들에게 업무 목적으로 사용한 우버 이용료를 회사에서 전액 부담한다고 공지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이 은행은 우버가 날로 세를 확장하고 있으며, 서비스의 품질도 나무랄 데가 없다고 평해 눈길을 끌었다. 뉴욕타임스는 다른 업종에 비해 보수적인 경영 방침을 고수하는 은행들의 평소 관행에 비춰 이번 조치는 매우 눈길을 끈다고 평했다.
앞서 골드만삭스 역시 지난 5월 자사 직원들에게 JP모건체이스와 비슷한 지침을 내렸다. 역시 내로라하는 대형은행인 모건스탠리는 이미 지난해 자사 직원들의 우버 이용료를 회사에서 부담한다는 방침을 정한 바 있다.
우버테크놀로지 설립자 겸 대표인 미국인 트래비스 코델 칼라닉
JP모건체이스는 이번 조치에 대해 "(조만간 있을 것으로 보이는) 우버의 기업공개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부인했다. 하지만, 대형은행들이 우버의 존재를 합법화하는 듯한 조치를 잇따라 내놓는 것은 우버의 기업공개 과정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려는 '구애의 손짓'이라는 게 중론이다.
우버의 기업가치가 벌써부터 500억 달러(56조5천50억 원)에 달한다는 전망까지 나오는 터라 은행들이 앞다퉈 구애경쟁을 벌이고 있다는 얘기다.
우버의 기업공개 일정은 전혀 정해지지도 알려지지도 않았지만, 그다지 멀지 않은 장래에 있을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이처럼 미국의 대형은행들이 특정 업체를 향해 대놓고 구애를 한 사례는 적지 않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유경제의 현재와 미래] 21세기 키워드는 ‘Sharing economy’ (0) | 2015.07.14 |
---|---|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성공하려면 공정한 환경부터 만들어야 한다 (0) | 2015.07.13 |
[특허전쟁 2015] 공유가 창조경제 핵심, 특허시장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 (0) | 2015.07.12 |
중국, 공유경제 기반 플랫폼 서비스 만개 중..‘샤오쭈’ 등 대규모 투자 이어져 (0) | 2015.07.12 |
구글, '라이드위드' 출시... 공유경제 기반 ‘차량 공유 서비스‘ 시작 (0) | 2015.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