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대변혁, 편집국부터 혁신 필요"
아시아투데이 2015.07.09(목) 이재은 기자
http://m.asiatoday.co.kr/kn/view.php?r=articles/20150709010005969
“시대가 바뀌었고, 미디어 또한 모든 것이 변했다. 시대 변화에 발맞춰 편집국에서부터 혁신이 시작돼야 한다”
손재권 매일경제 기자<사진>가 8일 서울시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회의실에서 열린 ‘세계 신문의 혁신전략과 비즈니스 모델’을 주제로 한 강연에서 ‘세계신문협회 총회’를 보고하면서 이와 같이 강조했다.
◇뉴스의 주력 소비층인 밀레니얼 세대, 이들의 마음을 훔쳐라
손 기자는 지난달 1일부터 3일까지 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세계신문협회 67 총회에서 나온 내용을 바탕으로 세계 신문의 혁신전략을 발표했다.
그는 뉴욕타임스를 예로 들며 “혁신보고서 이후 편집국 분위기가 완전히 바뀌었다”며 “편집국과 비편집국 간 경계를 허물면서 디자인, 개발요소를 편집국 안으로 들어오게 했다”고 말했다. 이어 “ 종이신문 1면이 아닌 디지털 위주로 콘텐츠를 만들고 있으며 독자개발 및 분석, 전략팀 등을 신설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뉴욕타임스는 ‘실패하지 않으면 충분히 노력하지 않은 것’이라는 명제 아래 더 많이 실패하기 위해 내부 분위기를 독려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편집국 내에서 데스크톱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것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고, 모바일로 이용하게끔 하는 등의 혁신으로 트래픽의 73% 가량이 페이스북을 통해 오고 있으며, 이는 독자가 있는 곳에 이익이 있다는 전략으로 분석된다.
이어 손 기자는 “올해부터 18세~34세인 밀레니얼 세대가 부상하고 있다”며 “밀레니얼이 핵심 노동력이면서 핵심 소비자, 즉 미생이다”고 밝혔다. 밀레니얼 세대는 뉴스에 관심이 많지만 전통적인 뉴스 브랜드나 방식에는 관심이 없는 세대이다. 이들은 페이스북이나 유투브 등 SNS를 통해 뉴스를 접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그는 “이에 맞춰 그들이 어떤 취향을 가지고 있는지부터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편집국과 비편집국 간 경계를 허물어라
<중략>
끝으로 그는 “이제 신문‘을’ 만든는게 아니라 신문‘도’ 만드는 시대가 왔다면서 여러가지 시행착오를 해야 비로서 혁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경제에 `쿼드러플(quadruple) 쓰나미` (0) | 2015.07.10 |
---|---|
한·중 FTA, 한국은 단지 중국의 '연습경기 상대'였다 (0) | 2015.07.10 |
[인크루트 선호도 조사] 2015년 대학생이 일하고 싶은 기업 1위는 '네이버' (0) | 2015.07.09 |
한국, 최저임금 OECD 국가 중 14번째… 올해 세계적으로 큰 폭 인상 추세 (0) | 2015.07.09 |
최저임금위원회, 내년 최저임금 인상안 의결...시급 6천30원·월급 126만원 (0) | 201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