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공유·사회적 경제外

진화하는 `공유경제`의 명암...`전통경제`와 어떻게 다른가

배셰태 2015. 7. 7. 06:56

[진화하는 공유경제의 명암] 공유의 가치 잃고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

이코노미스트 1293호 (2015.07.13) 허정연 기자

http://jmagazine.joins.com/economist/view/307229

 

새로운 가치 창출을 목표로 나타난 공유경제가 초심을 찾을 수 있을까. ‘사람과 사람을 잇는다’는 목표에 기반한 스타트업 ‘우버’는 설립 5년 만에 기업가치 500억 달러의 거대 기업으로 성장했다. 숙박공유사이트 ‘에어비앤비’ 역시 웬만한 호텔 체인에 맞먹는 몸값을 자랑한다. 사업이 커지면서 공유의 가치를 실현한다는 당초 방향성을 잃었다는 비판도 거세다. 이에 가치에 실속을 더한 ‘제 2의 공유모델’을 내놓으며 논란 잠재우기에 나섰다. 후발주자 역시 더욱 진화한 방식의 공유모델을 앞세워 도전한다. 프랑스 승차공유서비스 ‘블라블라카’가 대표적이다. 글로벌 트렌드에 발맞춰 일찍이 에어비앤비 호스트로 변신한 사람들의 이야기도 들었다. 공유경제 시대, 나누면 배가 되는 가치가 기쁨만은 아니다.

 

<중략>

 

‘공유경제의 대명사’로 불리는 공유차량 앱 ‘우버(Uber)’. 우버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2010년 6월 처음 서비스를 시작한 지 5년 만에 58개국 300개 도시에서 활약 중이다. 미국 샌프란시스코(2만2000명), 뉴욕(2만6000명), 영국 런던(1만5000명), 프랑스 파리(1만명)를 비롯해 중국 청도(4만2000명)까지 전 세계에서 우버 이름으로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 수만 100만명에 달한다. 현재 이 회사의 기업가치는 500억 달러(약 55조4000억원)로 평가된다. 트래비스 칼라닉 우버 CEO는 6월 3일 창립 5주년 행사에서 “올해 말까지 운전자가 200만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이날 칼라닉 대표는 새로운 서비스 ‘우버풀(UberPOOL)’ 도입 계획을 밝히며 공유 경제의 또 다른 진화를 예고했다. 우버풀은 일종의 ‘합승’ 개념으로 목적지가 같은 여러 명의 손님이 같은 시간대에 한 차에 타서 승차 비용을 줄이는 것이다.

 

공유경제의 개념은 2008년 미국 하버드 법대 로렌스 레식 교수가 처음으로 제시했다. 그는 개인 소유가 아닌 타인과의 공유를 통한 ‘협력적 소비’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경제 형태가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규모 생산과 이를 소비하던 전통경제에서 벗어나 제품과 서비스 등을 서로 빌려 쓰고, 빌려 주는 경제활동이 시장을 지배할 것이라고 봤다.

 

합승 형태의 ‘우버풀’ 도입 예정

 

 

<중략>

 

이러한 추세를 반영해 세계 최대 온라인 쇼핑 업체 아마존은 공유경제 배달 서비스와 관련 앱 개발에 나섰다. 아마존이 선보인 ‘온 마이 웨이’는 배달원이 아닌 일반 소비자가 아마존 상품을 배송하고, 그 대가로 수수료를 받는 배달 시스템이다. 아마존은 서비스가 실시될 경우 한해 87억 달러에 달하는 배송비 절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소매업체 공간 임대만으로 배달이 가능해져 대규모 물류센터를 지어야 하는 부담도 덜 수 있다.

 

공유경제 활용한 배달 서비스 나선 아마존

 

현재 공유경제는 집이나 자동차처럼 재화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이제는 그 범위를 넘어 지식이나 삶, 노하우를 공유하는 서비스로 진화하는 모양새다.

 

<중략>

 

일부 국가에서는 공유경제가 혁신적인 경제모델에서 기존 사업자의 밥그릇을 뺏는 ‘민폐’ 모델로 전락하기도 했다. 실제로 우버 영업은 태국·인도·네덜란드 등에서 금지됐고, 한국에서도 사실상 영업을 중단한 상태다. 김상훈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는 “공유경제와 관련한 다양한 사업 모델이 출현하면서 부정적인 측면 역시 부각되는 상황”이라며 “긍정적인 측면을 인식하기도 전에 시장 자체가 사라질 수 있으므로 기존 경제와 공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공유경제

: 자동차·숙소·자전거·책·옷은 물론 경험이나 노동력까지도 공유하면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경제활동을 의미한다. 이미 생산된 물건의 가용성을 극대화하기 때문에 자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친환경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