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U, 韓 제안 토대로 '5G' 비전·표준화 일정 합의
아시아경제 2015.06.18(목) 권용민 기자
http://m.news.naver.com/read.nhn?sid1=105&oid=277&aid=0003522861
■이르면 2020년 10배 빠른 5G 이통서비스 나온다
연합뉴스 2015.06.18(목) 정성호 기자
http://m.news.naver.com/read.nhn?sid1=105&oid=001&aid=0007669267
체감 전송속도 4G보다 10배 빠른 100Mbps…"UHD 영화 1편 10초면 다운로드가 목표"
5G 이동통신 명칭 'IMT-2020'…10월 ITU 전파통신총회에서 확정
■5세대(5G) 이동통신, 2020년에 표준 나온다
아이뉴스24 2015.06.18(목) 허준 기자
http://m.news.naver.com/read.nhn?sid1=105&oid=031&aid=0000351821
최대 20Gbps 속도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5세대(5G) 이동통신에 대한 청사진이 나왔다. 오는 2020년에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표준이 마련될 예정이다.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는 지난 10일부터 18일까지 미국 샌디에고에서 열린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파부문 이동통신작업반 회의에서 오는 2020년까지 5G 이동통신 표준을 완료하기로 합의했다고 18일 발표했다.
ITU는 국제주파수 분배 및 전파기술·전기통신망 표준화를 논의하는 국제기구다. ITU는 이번 회의에서 5G 이동통신의 새로운 명칭과 핵심성능 요구사항에 대한 청사진을 담은 비전 초안도 확정했다.
◆5G 명칭은 'IMT-2020', 최대 20Gbps 속도
5G 이동통신의 명칭은 'IMT-2020'으로 결정됐다. 3세대(3G)의 명칭은 'IMT-2000', 4세대(4G)의 명칭은 'IMT-Advanced)였다. 올해 10월 제네바에서 열리는 ITU 산하 전파통신총회에서 명칭이 최종 승인될 예정이다.
ITU는 5G의 비전도 제시했다. 최대 20Gbps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1㎢에 약 100만개의 기기들에게 네트워크에 연결돼 사물인터넷(IoT) 서비스 에 이용된다. 기지국내 어디에서도 사용자들은 100Mbps 이상의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 된다.
미래부는 "5G 시대가 열리면 이용자는 초고화질(UHD) 영화 1편을 10초 이내에 내려 받을 수 있다"며 "실시간 가상현실 영상콘텐츠 이용, 홀로그램 활용 서비스 및 모든 기기가 하나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는 스마트홈·스마트 오피스를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ITU는 이번 회의를 통해 2020년 상용화를 목표로 2017년부터 5G 후보 기술을 접수하는 표준화 일정을 수립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세계 최초로 5G 후보기술로 시범 서비스를 시연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국제표준화에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미래부는 기대하고 있다.
◆우리나라, 초고대역 주파수(6GHz 이상) 활용 논의 선도
<중략>
미래부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제안을 토대로 5G 비전과 표준화 일정이 합의된 것은 세계 이동통신분야 기술력과 정책을 선도하고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며 "앞으로 본격적으로 전개될 5G 표준화에 우리나라 기술이 반영될 수 있도록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평창올림픽에서도 성공적인 5G 모범사례를 제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물인터넷(IoT) 시장, 5년뒤 지구촌 1900조 원…국내외 업체들 선점 경쟁 (0) | 2015.06.18 |
---|---|
[IMT-2020] 2020년 5G 통신 표준 완료...사물인터넷(IoT) 세상 열린다 (0) | 2015.06.18 |
페이스북의 OCP(오픈소스 컴퓨터 프로젝트), 기존 HW 산업 질서를 흔들다 (0) | 2015.06.18 |
구글, 미래 비즈니스...특허에서 자체 인용(Self-Citation)으로 답을 찾다 (0) | 2015.06.16 |
[키플랫폼] 디지털 금융, 스마트홈 등…세상을 바꿀 새로운 트렌드 (0) | 2015.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