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통법 직격탄' 판매점 고사 위기.. 정부, 유통시장 상생 위해 나서야"
파이낸셜뉴스 2015.06.14(일) 황상욱 기자
http://m.media.daum.net/m/media/digital/newsview/20150614172424322
http://www.fnnews.com/news/201506141723127384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 시행 이후 휴대폰 유통시장이 침체되면서 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3만여곳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통점들이 고사위기에 처한 만큼 골목상권 보호를 위한 보다 적극적인 움직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휴대폰 판매 감소에 동네 판매점들 위기
14일 KT경제경영연구소 박연익 연구원은 '이동통신 유통시장의 상생을 위한 과제-오프라인 오프라인 유통 매장을 중심으로' 보고서를 통해 대기업 자본과 중소상인과의 상생(相生) 측면에서 건전한 유통 채널이 구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연구원은 "국내 휴대폰 유통 규모가 점차 축소되고 있다"며 "국내 스마트폰 보급률이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의 포화 상태에 달한 가운데 단통법 이후 출고원가에 부담을 느낀 소비자들의 구매가 줄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국내 이동통신 단말 유통 구조는 크게 이통사가 계열사 등을 통해 직접 운영하는 직영점, 계약을 통해 1개 회사의 상품만 취급하는 대리점, 판매 위주로 모든 통신사의 상품을 취급하는 판매점으로 구성돼 있다. 직영점과 대리점은 이동통신과 관련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판매점은 단순 제품 판매 위주로 운영되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구매가 줄어들면서 단통법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시장조사업체 아틀라스리서치는 2014년 국내 스마트폰 판매량이 약 1621만대로 1776만대를 기록한 2013년 대비 약 8.7%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중략>
박 연구원은 "단통법 이후 환경 변화로 인해 유통시장이 기존과 다른 형태로 바뀌어 대리점·판매점을 운영하는 중소상인에게는 부담스러운 상황"이라면서 "이를 견디지 못한 일부 유통 채널에서는 과거 불법 보조금을 통한 영업 방식에 대한 유혹을 떨칠 수 없을 것"이라고 봤다.
<중략>
■"이통3사는 대형마트, 동네 슈퍼인 판매점에 혜택 줘야"
이에 KT연구소는 타 산업의 중소유통업 상생 사례를 해결방안으로 제시했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SW강국으로 가자] 중국 SW굴기 vs 한국 SW홀대 (0) | 2015.06.16 |
---|---|
샤오미제이션(샤오미화), '만물상' 샤오미...5~10년 내 삼성전자 넘는다 (0) | 2015.06.16 |
삼성전자, '타이젠 OS' 탑재한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 점유율 '초라한 성적표' (0) | 2015.06.14 |
넷플릭스, 내년 하반기 한국 진출...국내 유료방송 시장 장악할 수도 있다 (0) | 2015.06.14 |
애플, iOS 기기 사용자·생태계 이점으로 음악 스트리밍 시장 주도권 잡는다 (0) | 2015.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