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인터넷 플러스, 'ICT 대국굴기(大国崛起)'
이코노믹리뷰 2015.06.01(월) 최진홍 기자
http://m.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247703
"우리는 준비가 됐는가"
ICT 기술은 세계를 바꾼다. 정치와 사회, 문화, 경제는 물론 우리가 인지하고 느끼는 모든 것을 완벽하게 변화시키고 재조합한다. 꼭 발전한다는 법은 없지만 그렇다고 후퇴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경향은 웹에서 모바일로 패러다임이 빠르게 변하며 더욱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모두가 모바일, O2O를 외치며 시장에 뛰어든다고 100% 성공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는 정교한 전략이 필수다. O2O를 예로 들어보자. 최근의 O2O는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넘어가며 이용자 중심의 생활밀착형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지만 반대로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넘어가며 공급자 중심의 인프라를 구축하기도 한다. 옐로모바일이 대표적인 사례다.
결국 커다란 틀 안에서 최적의 조합을 찾아 이를 재구축하는 것이 가장 어렵지만 필수라는 뜻이다.
▲ 통신사 O2O 서비스. 출처=뉴시스
중국, 국가차원의 ICT 전략을 짜다
지난 3월 열렸던 중국의 양회(당의 전당대회에 해당하는 정치협상회의와 정기국회에 해당하는 전국인민대표회)가 뜨거운 여운을 남기고 있다. 시진핑 주석 시대 3년을 맞아 전통적인 사업에 인터넷을 더하는 인터넷 플러스, 그리고 스마트제조(제조강국 2025)가 화두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여기서 인터넷 플러스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각 사업에 인터넷을 더하는 방식으로 추진되는 본 정책은 리커창 (李克强) 국무원 총리가 양회 정부업무보고에서 인터넷 플러스 액션플랜을 제시한 이후 더욱 탄력을 받고 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인터넷 경쟁력이 제조산업을 개조하고 바꾸는 알고리즘이다. 모바일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 등이 총망라되어 우리에게 익숙한 모든 산업의 DNA를 개조한다는 뜻이다.
가장 명확한 변화의 흐름이 감지되는 유통, 즉 인터넷 플러스 유통을 간단하게 살펴보자. 알리바바의 나라 중국답게 추진하는 정책의 크기와 강도가 상상을 초월한다. 5월 15일 중국 상무부가 발표한 후속전략에 따르면 인터넷 플러스 유통은 2016년 말까지 전자상거래 거래액 22조 위안을 달성하고 온라인 소매판매액도 5조4000억 위안 수준으로 이루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중략>이미지
▲ 3월 양회 입장하는 중국 지도부. 출처=뉴시스
또 150개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업을 육성하고 100개의 전자상거래 해외창고를 건설한다. 200개의 농촌 전자상거래 종합시범지역을 선정하는 한편 60개의 국가급 전자상거래 시범기지도 설립한다. 전자상거래법 입법추진과 국제조직과의 협업은 물론 O2O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도 마련됐다.
전자상거래의 일상화를 통해 유통의 체질을 완전히 바꾸며, 자연스럽게 중앙과 지역의 격차를 좁혀 균등성장까지 노리겠다는 복안이다. 지난달 8일 중국 국무원의 전자상거래 지원 정책과 더불어 막강한 시너지 효과가 예상된다.
중국정부가 강력한 인터넷 플러스 유통 액션플랜을 추진할 수 있는 배경에는 자국의 전자상거래 시장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대목과 연결되어 있다. 실제로 상무부가 발표한 ‘2014년 중국 전자상거래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중국 전자상거래 증가율은 28.64%에 달해 중국 전체 국내총생산(GDP) 성장율 7.4%의 4배에 달한다. 지난 해 중국 온라인 소매판매액 증가율도 중국 전체 사회소비 증가율보다 37.7% 포인트 높았다.
중국 IT 소비 규모도 2조80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8% 증가했고 IT소비로 창출되는 관련 산업 경제효과는 1조2000억 위안이다. 전체 GDP 기여도가 0.8% 포인트에 달한다.
여기에 스마트 제조, 즉 중국 제조 2025가 붙으며 영향력은 더욱 강력해진다. 신중국 설립 100주년인 2049년까지 세계를 선도하는 제조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트랙1 조치인 중국 제조 2025는 총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연매출 2000만 위안 이상 대형 제조업 매출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을 2015년 0.95%에서 오는 2025년 1.68%로 끌어올리기로 하는 등 다양한 세부전략도 세웠다. 10대 중점 업종을 집중적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을 세워 선택과 집중에도 나섰으며 모든 산업을 스마트로 묶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중국정부는 아예 이를 위한 '국가 제조 강국 건설 태스크포스'를 구축해 국무원 지도자급 인사가 팀장을 맡는 방법도 고려하고 있다.
어떻게 변하나
<중략>
▲ 3월 양회시즌 폐막. 출처=뉴시스
<중략>
결국 중국이 원하는 것은 하나다. 제조업으로 성장했지만 이제 한계가 보이고, 그 폐혜도 만만치 않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정부는 ICT 기술이 일종의 윤활유로 작동하며 전통사업의 방향을 빠르게 바꿀 수 있다는 시그널을 읽었다. 환경은 마련됐고 인프라는 고조되어 있는 상태다.
여기서 중국은 평상시처럼 국가주도의 ICT 정책을 강력하게 펼쳐 난국을 기회로 바꾸려 한다. 공산당 일당지배체계인 중국에서만 볼 수 있는 광경이다. 거대한 내수시장과, 유기적인 협력의 고리를 창조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기도 하다. 생산성의 향상과 인재확보를 통한 장기적인 플랜 등 모든 것이 총망라되어 있다.
ICT 대국굴기 중국, 우리는 준비가 되었나
중국은 국가적 차원에서 차원이 다른 ICT 대격변을 예고하고 있다. 특히 전반적인 기조를 O2O에 두는 기조가 흥미롭다. 전통사업을 육성하기 위해 인터넷을 '플러스'한다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모든 전략은 흐름과 방향성을 제어할 수 있는 세밀한 전략이 필수다. 이 지점에서 중국정부는 O2O를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이 아닌,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확산시키는 셈이다.
무조건 성공 가능성만 예견할 수는 없다. 하지만 중국정부의 이러한 행보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둔다면 시장의 팽창은 필수적으로 이뤄지며, 자연스럽게 중국중심의 새로운 경제 생태계가 윤곽을 드러낼 가능성이 높다. 세계의 패권을 차지하는 것은 어려워도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또 하나의 패권 패러다임'이 구축될 확률이 있다는 뜻이다.
이 지점에서 '대한민국은 어떤 스탠스에 처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져야 한다. 미국과 중국이라는 G2의 가교역할을 자임하며 그 사이에서 나름의 경쟁력을 갖추는 방법도 있고, 전혀 다른 방법으로 제3의 세계관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현 시점에서 단 하나의 질문으로 충분하다는 것이다.
"격변하는 글로벌 ICT 무대에서, 과연 우리는 준비가 됐는가?"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쟁력있는 독자 OS가 없는 삼성전자...삼성페이를 둘러 싼 불길한 징조들 (0) | 2015.06.03 |
---|---|
애플, 8일 개막하는 WWDC에서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 공개할 예정 (0) | 2015.06.02 |
[구글 I/O 2015] 미래는 이미 우리 곁에..구글이 공개한 '세상을 바꿀 5가지' (0) | 2015.06.02 |
네이버도 구글•페이스북와 같은 혁신기업인가...뉴스생태계 질서 회복 시급 (0) | 2015.06.02 |
`큐레이션 서비스`로 비약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페이스북의 ``인스타그램` (0) | 2015.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