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보다 은행 보신주의가 핀테크 걸림돌"
매일경제 2015.05.25(월) 정지성 기자 / 사진 = 이승환 기자
http://m.mk.co.kr/news/headline/2015/499729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499729
국내 핀테크 대표기업 CEO 3인방의 쓴소리
"당국 규제보다 무서운 시중은행들의 민민규제(民民規制)가 핀테크 산업 발전에 더 큰 걸림돌입니다."
이승건 비바리퍼블리카 대표, 김태훈 레이니스트 대표, 이효진 8퍼센트 대표 등 핀테크업계 스타 최고경영자(CEO) 3인방은 25일 매일경제와 인터뷰하면서 "핀테크 관련 규제는 이미 많이 완화된 상태"라며 "당국 규제보다는 시중은행들의 지나친 소극성과 폐쇄성이 핀테크 산업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이승건·김태훈·이효진 등 CEO 3인은 핀테크 산업에 가장 먼저 뛰어든 `핀테크 1세대`로 불린다.
민민규제에 대해 가장 먼저 어렵게 말을 꺼낸 것은 업계의 맏형 격인 이승건 대표였다. 이 대표는 "일일 송금 법적 한도가 200만원까지 늘어났는데도 간편송금 앱인 토스가 30만원, 뱅크월렛카카오는 10만원으로 여전히 묶여 있는 것은 은행과 협의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며 "송금 한도를 늘리려면 개별 은행과 일일이 협의해야 하는데 은행들이 보수적이라 이 과정이 불가능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가 운영 중인 비바리퍼블리카는 간편송금 앱 `토스(Toss)`를 개발, 지난해 6월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투자금 100만달러(약 10억1000만원)를 유치했다.
금융권 보신주의에 따른 대기업 선호 현상으로 인해 스타트업 기업이 자생력을 얻기 힘들다는 점도 문제로 꼽혔다.
<중략>
국내 금융사 데이터 개방과 공유에 지나치게 폐쇄적인 점이 문제라는 지적도 나왔다. 김태훈 대표는 "미국 자산관리서비스 민트는 미국 금융사가 공유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단 두 명이 개발한 서비스"라며 "한국은 개별 금융사로부터 일일이 데이터를 얻어 와야 하기 때문에 최소 20명 이상 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한국에서는 농협·기업은행을 빼고는 주요 데이터를 외부로 공유하는 데 적극적인 은행이 거의 없는 상태"라며 "데이터만 자유롭게 얻을 수 있으면 마윈 알리바바 회장 못지않게 좋은 아이디어로 비즈니스를 만들 수 있는데 그럴 수 없어 사업가로서 너무 답답하다"고 털어놨다. 레이니스트는 신용카드 추천 서비스 `뱅크샐러드`를 출시해 50만명이 넘는 회원을 확보했다.
이효진 대표는 한국 핀테크 산업이 뒤처지는 원인을 금융사고에 지나치게 민감한 금융권 문화에 있다고 분석했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드IT쇼 2015] 사물인터넷(IoT)·핀테크·스마트카…미래 세상 만난다 (0) | 2015.05.28 |
---|---|
[MK스마트테크쇼 콘퍼런스] 2020년 모바일 시장 미리 본다 (0) | 2015.05.28 |
'1인 방송' 묶음 서비스…미래 방송 MCN(멀티 채널 네트워크) 뜬다 (0) | 2015.05.26 |
[인터내셔널 CES 아시아 2015] 아시아판 CES 개막('15.05.25~27) (0) | 2015.05.25 |
ICT 4대 천왕, 애플·구글·MS·페이스북 전망 등 분석 - KT경제경영연구소 (0) | 2015.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