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값 '55조' 우버, 오히려 스타트업 생태계 해친다
머니투데이 방윤영 기자
↑ 택시 앱 우버/사진=news1
최근 15억 달러(약 1조6390억 원) 이상 신규 자금 모집에 나선 미국 택시 앱(애플리케이션) 우버(Uber)가 투자금 조달 성공시 기업가치로 최소 500억달러(약 54조7750억원)를 평가받을 것으로 예상 되는 가운데 과다한 기업가치가 스타트업(초기기업)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우버는 2009년 설립 이후 총 63억달러를 조달해 이미 기업가치가 400억달러에 달한다.
12일(현지시간) 미국 경제전문방송 CNBC에 따르면 우버 등 소수 거대 벤처기업이 과다하게 기업가치를 산정 받아 기술기반(테크) 스타트업 생태계에 일명 '테크 버블'을 조장할 우려가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중략>
우버와 함께 다른 택시 앱의 가치도 덩달아 높게 평가되면서 동종 분야인 사이드카(Sidecar)와 리프트(Lyft)도 대규모 자금 조달에 동참한 상태다. CNBC 등에 따르면 사이드카의 몸값은 최소 180억 달러(19조7262억 원)에 이른다. 이 중 가장 규모가 작은 리프트도 3억3000만 달러(약 3616억 원) 이상의 자금을 조달했다.
반면 우버의 기업가치가 정당하다는 의견도 있다. 미국 벤처캐피탈인 버전 원 벤처스(Vesion one Ventures)의 창업가 보리스 워츠(Boris Wertz)는 "우버의 기업가치가 12개월 만에 급격히 상승한 것은 분명 놀라운 일"이라면서도 "성장 잠재력은 사람들의 생각보다 클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숙박 공유] 민박·情에 익숙한 한국…공유경제에 제격 (0) | 2015.05.14 |
---|---|
사물인터넷(IoT)은 특화된 공유경제를 원한다 (0) | 2015.05.14 |
[창조경제 산업] 중국, 오픈소스와 공유경제의 확산…한국, SW전략 10가지 (0) | 2015.05.11 |
협동조합 등 ‘사회적 경제’ 관령법률 지연...새누리당 자가당착 색깔론 (0) | 2015.05.11 |
[경제민주화] 협동조합, 협동조합기본법 3년차 : 기대와 조언 (0) | 2015.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