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순의 넷 세상) PC보다 모바일로 뉴스 보는 시대
한국경제 2015.05.01(금) 최진순 기자
출처 : 퓨리서치센터 보고서
스마트폰 보급 이후 모바일은 뉴스소비를 촉진하는 대표적인 플랫폼이 됐습니다. 언제 어디서나 정보이용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의 특성 덕분입니다.
미국 연구조사기관인 퓨리서치센터가 29일 공개한 '뉴스미디어 현황(2015)' 보고서에서도 그러한 흐름이 그대로 반영됐습니다. 미국 언론사 웹사이트 50곳 중 무려 39곳에서 모바일 트래픽이 데스크톱(PC) 트래픽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정형 단말기인 데스크톱이 아니라 이동형 단말기로 뉴스를 더 소비한다는 뜻인데요.
미국 최대 일간지 USA투데이를 비롯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가디언, 텔레그래프, 보스톤글로브 등 유력 신문사 대부분이 모바일 트래픽이 데스크톱 트래픽보다 많았습니다. 가히 '모바일 뉴스 시대'라고 할 수 있는데요.
<중략>
한 중앙일간지 관계자는 "모바일 뉴스시장에서도 네이버 영향력이 여전하다. 그 때문인지 모바일 트래픽 비중이 40% 정도에 그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뉴스 부문의 경우 60% 안팎의 페이지뷰가 모바일에서 들어온다는 지상파방송사 관계자는 "모바일에서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소셜네트워크 앱에서 타고 들어오는 트래픽이 꽤 높다. PC보다 가능성이 더 있다."고 밝혔습니다. 언론사의 특성이나 여건에 따라 '온도' 차이를 느낄 수 있는 대목입니다.
문제는 모바일 이용자를 붙들 수 있는 방법입니다. 뉴스 클릭 이후 독자들의 활동을 담보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강정수 연세대커뮤니케이션 연구원은 "모바일 인터페이스에 최적화된 다음 뉴스 읽기 설계가 필요하다. 또 모바일에 맞는 기사 형식 즉, 유통하는 시간대에 따른 뉴스 형식 등도 고민해야 한다. 최근 버즈피드 보고서에서도 언급됐지만 방문자나 페이지뷰 등 지표 중심이 아니라 (매체가 가진) 임팩트 즉, 영향력에 기초해 비즈니스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 디지털전략부 기자 (끝)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AI), 어디까지 왔니...마이클 카라식 IBM 부사장에게 묻다 (0) | 2015.05.03 |
---|---|
[빌드2015] MS, 사물인터넷(IoT)용 윈도10 공개 - 29일(현지시간) (0) | 2015.05.01 |
페이스북, 미국서 처음 도입한 사후 계정관리제(상속)를 캐나다로 확대 시행 (0) | 2015.05.01 |
[스크랩] 약정 2년 지난 휴대폰 사용자 20% 요금 할인 (0) | 2015.04.30 |
삼성전자 1분기 스마트폰 시장 1위…실적은 '속빈강정'...애플의 1/3에 불과 (0) | 201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