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SEC, 주식투자형 크라우드펀딩 허용...기존 주식시장 붕괴가 올 수 있다

배셰태 2015. 4. 2. 08:59

주식시장 붕괴가 올 수 있다. 주식투자형 크라우드펀딩 2025년 시장이 100조원으로 늘어난다. 창업기업 중소기업 이제는 주식시장아닌 크라우드펀딩으로 투자받아

인데일리 2015.04.01(수) 박영숙《유엔미래보고서 2045》 저자 / 유엔미래포럼 대표

http://www.indaily.co.kr/client/news/newsView.asp?nBcate=F1002&nMcate=M1002&nScate=1&nIdx=28296&cpage=1&nType=1

 

<중략>이미지

 

페블 타임 스마트워치, 크라우드펀딩으로 200억원 모아

 

며칠 전 에릭 Migicovsky의 페블사가 크라우드펀딩의 역사를 바꾸면서 펀딩을 마감하였다. 페블사는 78,471 명의 후원자로부터 20,338,986달러를 모았고 그들은 이제 페블 타임이라는 신제품 제작에 필요한 자금을 충분히 조달하여 Kickstarter 캠페인을 마감했다. 이로서 지난번에 극적으로 1300만 달러를 모금하여 기록을 세운 라이언 Grepper의 최근 기록을 깨버렸다고 피터 디아만디스가 쓰고 있다.


이 페블 타임 스마트워치의 크라우드펀딩 캠페인은 두 가지 이유에서 중요하다.

크라우드 펀딩의 빠른 성장

: 2012 년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은 Massolution보고서에 따르면, 2조7천억원을 모금하면서 1만개 이상의 캠페인을 성공시켰다. 올해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은 5조원 이상으로 상승 할 전망이다. Kickstarter만 16억달러즉 1조6천억원 이상을 모금하고 성공적으로 80,000개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였다.

 

세계은행 (World Bank)의 2013년 연구에 따르면, 크라우드펀딩은 오늘날 글로벌 벤처 캐피탈 산업의 약 1.8배 크기로 성장하였으며, 2025년에는 글로벌 크라우드펀딩 시장은 약 1천억달러 즉 100조원에 달 할 것으로 보았다.

 

이제는 대기업아닌 중소기업의 손에 힘 실려

: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기업은 이제 글로벌 대기업 애플이나 삼성에 손을 벌리거나 경쟁하려고 하기보다는 페블 팀 처럼 대담한 행동을 하고 대담하게 자신들의 장점을 크라우드펀딩에 어필하여 자금지원을 받기로 결정하고 있다.

 

이런 성공의 중요한 포인트는 그런 소규모 회사나 스타트업 기업이 수많은 팬들과 대규모 얼리어답터라는 10만명 이상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페블 타임 스마트워치보다 애플아이워치는 아마 100배 이상 팔리겠지만 이 크라우드펀딩 캠페인은 페블 "타임"이 스스로 자신의 신제품을 발표할 기회를 주었으며 자신들이 만들 제품을 미리 보여주었고 또 애플아이워치가 시장에 범람하기 전에 제품판매를 미리 시작하였던 것이다.

 

미증권거래위원회(SEC), 비공인 투자자들이 주식기반의 크라우드펀딩 즉 지분투자형 크라우드펀딩에 참여할 수 있게 허용하였다.

<중략>

 

주식투자형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에 관해 Crowdfunder사의 챈스 바넷사장은 이에대해 상세히 여기http://www.forbes.com/sites/chancebarnett/2015/03/26/infographic-sec-democratizes-equity-crowdfunding-with-jobs-act-title-iv/?utm_source=crowdfunder.com+Master+User+List&utm_campaign=f129ba584b-titleIV&utm_medium=email&utm_term=0_e545ff2deb-f129ba584b-304915689

에 설명하고 있다.

 

페이스북 가상현실에 대한 계획 발표


최근의 F8컨퍼런스에서 마이크 Schroepfer, 페이스북의 CTO는 가상현실의 미래와 비전을 설명했다. : 작년에 많은 사람들이 알고 싶어했던 것은 왜 페이스북이 오큘러스 리프트를 2조원씩이나 주면서 매임했느냐이다. 또 왜 VR은 80년대 또는 90년대 또는 2000 년대에도 나왔지만 잘 작동하지 않았는데 왜 지금이냐는 질문이다.

 

페이스북에서 팀이 4가지 이유를 밝혔다.

 

..이하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