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개국 참가… 출발점 선 AIIB] 中 경제외교의 승리… 금융주도권 다원화 시작됐다
서울경제 2015.03.31(화) 베이징=김현수특파원
http://economy.hankooki.com/lpage/worldecono/201503/e2015033117482269760.htm
WSJ "美 경제동맹국의 쿠데타"
투명성 문제 놓고 신경전 등 美·中 AIIB 온도차는 여전
北 가입은 역풍 우려에 무산
중국이 주도하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이 당초 예상을 크게 웃도는 성과를 내며 출발점에 섰다. 중국 언론들은 일제히 중국 경제외교의 승리라고 평가하며 미국이 쥐고 있던 금융 주도권이 다원화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31일까지 AIIB 신청을 한 국가는 모두 47개국. 애초 브릭스와 아시아 내 개발도상국 등 친중 국가들을 중심으로 35개국 정도의 가입이 예상됐지만 3월 이후 상황은 돌변했다. 영국·프랑스·독일 등 유럽 내 미국 동맹국들이 잇따라 가입신청서를 내밀었고 한국까지 가입을 선언했다. 창립회원국 모집 마지막 날인 31일에도 키르키스스탄이 막판 가입신청을 하고 대만과 스웨덴이 신청절차를 밟고 있다. 장우잉 사회과학원 국제경제연구센터 연구원은 "AIIB가 예상을 뛰어넘는 인기를 끄는 것은 인프라 투자를 통한 경제 활성화의 필요성을 세계 각국이 공유하기 때문"이라며 "AIIB는 아시아는 물론 유럽 국가경제의 필요를 충족시켜주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경제동맹국들의 AIIB 가입에 대해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경제동맹국의 쿠데타'라고 표현했다. 미국과 대립하는 중국이 주도하는 기구지만 아시아 지역 인프라 투자에 따라오는 이익의 달콤한 유혹을 뿌리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WSJ는 덧붙였다. 바이밍 중국 상무부 국제시장연구센터 부주임은 "유럽의 채무위기가 끝나지 않은 가운데 달러화 가치 상승이 유로화 하락을 압박하는 상황"이라며 "양적완화 이후 유럽 국가들은 경제회복을 위해 또 다른 돌파구가 필요한데 AIIB가 이러한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락>
한편 눈길을 끌었던 북한의 AIIB 가입은 중국의 거부로 무산됐다. 가뜩이나 AIIB의 투명성에 대한 우려가 발목을 잡는 상황에서 북한 가입이 역풍을 불러올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 외교소식통은 "아무리 중국이 주도하는 국제금융기구라고 해도 불법적 핵 개발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등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고 있는 북한에 인프라 투자 혜택을 주지는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건복지부 '2014년 노인실태조사'...78.3% "70세 이상은 돼야 노인" (0) | 2015.03.31 |
---|---|
AIIB, 미국 vs 중국 패권전쟁...자산의(부동산 등) 시대 가고 돈의 시대 도래 (0) | 2015.03.31 |
중국발 특급열차,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46개국 참여 (0) | 2015.03.31 |
박근혜 대통령의 청년들 ‘중동 일자리’ 발언에 조국 서울대 교수의 ‘해법’ (0) | 2015.03.31 |
새로운 패러다임 ‘개봉박두’..한계비용 제로 시대의 에너지 정책 (0) | 201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