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의 '페리스콥'은 '게임체인저'다
광파리의 IT 이야기 2015.03.30 (월) 김광현 한국경제 기자
http://kwang82.hankyung.com/2015/03/blog-post_30.html?m=1
최근 몇일 동안 트위터의 생중계 서비스 페리스콥(Periscope)을 사용해 보면서 '게임체인저'라는 생각을 떨칠 수 없다. ‘일반인 동영상 생중계’ 시대를 여는 기폭제가 될 것이란 생각이 든다. 누구든지 주변에서 현재 벌어지고 있는 상황을 폰을 꺼내 버튼 한두 번 누르기만 하면 생중계할 수 있는 시대, 바로 그런 시대가 열리고 있다.
트위터는 일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베타 테스트를 한 뒤 지난 25일 페리스콥 아이폰 앱을 내놓았다. 나오자마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페리스콥은 먼저 나와 화제가 됐던 미어캣을 단숨에 뛰어넘었다. 트위터를 살리는 활력소가 될 것 같다.
최근 보름 동안 미어캣과 페리스콥을 모두 사용해 봤는데, 페리스콥 중심으로 소감을 메모한다.
미어캣과 페리스콥은 비슷한 서비스다. 폰을 이용해 버튼 한두 번만 누르면 누구든지 생중계할 수 있게 해 주는 서비스다. 사실 미어캣이 먼저 나왔고 ‘SXSW 2015’에서 돌풍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바로 직전 트위터가 미어캣의 경쟁 서비스인 페리스콥을 인수하고 미어캣의 바로작동 기능을 제한하면서 미어캣은 궁지에 빠졌다.
페리스콥을 ‘게임체인저'라고 보는 이유는 간단하다. 스마트폰과 모바일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면서 생중계 욕구가 폭발 직전에 달했기 때문이다. 불만 붙이면 터지게 돼 있다. 한국처럼 LTE 보급율이 높고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사용자가 많은 곳에서는 더욱 그렇다. 안드로이드 앱이 나오기만 하면 페리스콥 생중계가 꽤 인기를 끌 것 같다.
전에도 트위터 생중계 서비스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미어캣이나 페리스콥이 다른 점은 작동법이 매우 간단하고 화질이 훨씬 좋아졌다는 점이다. 아무리 좋은 서비스도 작동하기 불편하면 쓰지 않는다. 페리스콥이나 미어캣은 버튼 한두 번만 누르면 바로 생중계가 시작된다. 게다가 화질이 선명하고 중계자의 숨소리까지 들을 수 있다.
<중략>
페리스콥이나 미어캣은 트위터의 팔로잉 개념을 도입했다. 좋은 영상을 생중계할 것 같은 사람을 팔로잉 하면 그 사람이 생중계를 시작하는 순간 폰에 알림이 뜬다. 오늘 아침 코스틸로나 캐시모어의 생중계 화면을 볼 수 있었던 것은 폰에 알림이 떴기 때문이다. 매셔블은 페리스콥에서 이미 47,000명이 넘는 팔로어를 확보했다.
필자는 SXSW 2015 행사장에서 미어캣을 이용해 몇 차례 생중계를 했다. 중계 시작 몇 초만에 동시접속자가 수십명으로 늘어나는 모습을 보면서 놀라기도 했다. 누구든지 화재 현장이나 교통사고 현장, 세미나 현장 등에서 생중계하는 시대가 열릴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페리스콥을 쓰기 시작하면서 미어캣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중략>
결론. 페리스콥은 게임체인저다. 누구든지 혼자 보기 어려운 상황을 사진 대신 동영상으로 올리는 시대를 열리고 있다. 누구든지 현장에서 생중계 하고 특종도 할 수 있게 됐다. 앞으로 화재 사고가 나면 방송사 카메라가 도착하기 전까지는 현장에서 일반인이 날린 생중계 화면을 보여주게 될 것 같다. 특히 발표 생중계에 많이 활용될 것 같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큐레이션 서비스] 트위터, 새 미디어 툴 ‘큐레이터’ 공개-'15.03.31(현지시간) (0) | 2015.04.01 |
---|---|
페이스북의 ‘가두리 전략’, “짐이 곧 인터넷”…드러나는 페이스북의 야심 (0) | 2015.04.01 |
트위터의 '페리스콥', 내 폰으로 들어온 방송국…'생방송 SNS'가 뜬다 (0) | 2015.03.31 |
가상현실(VR)기술이 생활 곳곳에 적용되고 대중화로 일상을 바꿔 놓는다 (0) | 2015.03.30 |
짝퉁을 넘어 혁신으로...사회를 바꾸려는 해커들이 주도하는 중국의 변화 (0) | 201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