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경제의 미래는 밝을까?(1)
이코노믹리뷰 2015.03.26(목) 최진홍 기자
http://m.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239256
- 우버와 에어비앤비, 아니 공유경제의 미래
공유경제(sharing economy)가 새로운 시대의 메시아가 될 것인가. 그리고 다소 이견의 여지가 있으나 공유경제의 대표주자로 여겨지는 우버와 에어비앤비를 어떻게 바라봐야 할 것인가. 여기에 대한 고민은 당장의 불협화음을 해결하는 선택적 문제해결의 차원에서 시작되지만, 좁게는 충돌의 중재에서 넓게는 전반적인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로 분석되고 논해져야 한다.
2008년 로렌스 레식 교수에 의해 생명력을 얻은 공유경제는 실제적 변화의 물결로 넘실거리는 파도를 넘어, 진지한 담론의 순간을 요구하고 있다.
<중략>이미지
공유경제, 다시 발견되다
일반적으로 공유경제는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재화를 소유의 개념이 아닌, 서로 대여해 주고 차용해 쓰는 개념을 말한다. 세계적 경제위기가 극에 달하던 2000년대 말, 새로운 성장동력을 모색하기 위한 일종의 대안으로 각광을 받기 시작해 이를 기반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 활동하고 있다.
하지만 엄밀하게 말해 공유경제는 로렌스 레식 교수의 손에서 탄생한 것이 아니다. 잊고 지내던 또 하나의 경제개념을 끄집어낸 것에 불과하다. 원래 있었던 개념을 근대적 자본주의의 대두로 상실한 이후, 다시 발견했다는 뜻이다.
<중략>
이러한 현상을 직시하고 2008년 로렌스 레식 교수의 공유경제를 이해해야 한다. 2008년은 세계를 강타했던 금융위기가 동시다발적으로 우울한 그림자를 떨구던 시기다. 근대를 시작으로 브르주아를 탄생시켰던 자본주의가 다양한 변신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운명의 숨을 다하려던 순간 공유경제가 나타났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협력하고 나누자"는 공유경제의 개념은 완전히 새로운 개념이 아니다. 오히려 인류가 잊고 지내던 고유의 패러다임을 구원투수로 불러냈다고 이해해야 한다.
공유냐, 경제냐
다음 질문이다. 과연 공유경제는 자본주의로 팽배한 기존의 경제 패러다임을 구원할 수 있을 것인가. 브루킹스 연구소에 따르면 공유경제 기업 우버는 2007년부터 2012년까지 미국 전역에서 경제적 불평등 수치가 가장 높았던 샌프란시스코에서 2009년 탄생했다. 이를 연결해서 생각하면 두 가지 가설을 가능하게 만든다. '공유경제가 구원투수가 될 수 있으니 2009년 경제적 불평등이 심각했던 곳에서 탄생했다'와 '공유경제는 경제적 불평등의 산물일 뿐 구원자가 아니다'라는 시나리오다.
물론 둘 사이에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다는 의견도 있지만, 우버가 온디맨드 기업이고 온디맨드의 특성이 '경제적 불평등'을 가속화 시킨다면 어떨까? 최근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지고 있다는 점에 착안해 보자. 이는 경제 모델 자체가 가성비가 훌륭한 패러다임을 원하고 있다는 뜻으로 여겨진다. 경제적 불평등으로 경제사정이 어려워지자 상위 1%에 들어가지 못하는 기업은 '적은 재화로 많은 이익'을 누리기 위해 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한다는 뜻이다.
<중략>이미지
이 과정에서 지속적이고 장기적 로드맵을 짜는 것은 한가한 소리다. 기업의 선택은? 당연히 삶의 질을 보장해야 하는 정직원을 뽑는것 보다 그때그때 필요한 인력을 유동적으로 충원받길 원한다.
여기서 온디맨드 기업이 등장한다. 온디맨드 기업은 일을 줄 수 있는 기업, 혹은 대상과 일을 할 수 있는 주체를 연결하는 한편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비용의 손실을 지속적으로 줄여 자신의 경쟁력으로 삼는다. 경제적 불평등이 순차적으로 돈이 없고, 일을 원하는 주체에게로 번질수 밖에 없는 구조다. 물론 고용시장의 경제모델은 이러한 설명보다 훨씬 복잡하고 변화무쌍하지만, 단순하게 생각해 온디멘드의 경제학은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창출하는 일'에 집중하고 있다. 그런 의미로 우버를 공유경제 기업으로 보지 않는 분위기도 있다.
여기서 아이러니한 지점이 포착된다. 인류의 오래된 역사에서 잠시 사라졌다 다시 등장한 공유경제는 두 가지 버전이 있기 때문이다. 바로 공유경제의 가치를 '공유'에 두느냐, '경제'에 두느냐다. 말 그대로 '공유'에 둔다면 이는 인류가 오래전 상실했던 진정한 의미의 공유경제와 결을 함께한다. 사회공헌기업이 대표적인 사례일 것이다. 하지만 '경제'에 방점을 찍으면 다소 복잡해진다. 프로세스의 알고리즘은 분명 공유경제지만 이를 바탕으로 '경제적 효과'를 창출하는 것이 더욱 체계적이며, 필연적으로 자본주의 패러다임과 충돌할 수 밖에 없다.
서울시와 우버의 갈등은 이러한 공식을 따라간다. 사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시민단체시절 '아름다운 가게'를 만드는 등 그 누구보다 공유경제의 개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던 인사다. 지금도 10개 분야의 공유경제 분야를 선정해 서울시 차원에서 강력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하지만 많은 이들로부터 공유경제의 선봉장이라 불리는 우버와는 치열한 전쟁을 펼치고 있다. 자본주의의 등장으로 구축된 오래된 관점에서 우버의 비즈니스 모델은 택시회사에 위협이며, 이는 당연히 자본주의 패러다임과 공유경제 패러다임의 충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계속)
■공유경제의 미래는 밝을까?(2)
이코노믹리뷰 2015.03.26(목) 최진홍 기자
http://m.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239257
- 모호함과 명확함의 경계에서
<중략>
정리하자면, 지금의 공유경제는 공유에 방점을 찍는 모델과 경제에 방점을 찍는 모델이 존재하며, 우버와 같은 공유경제 기업은 후자에 가깝다는 뜻이다. 경제에 방점을 찍은 '공유경제 기업'은 오리지널 공유경제가 자본주의를 관통하며 그 대안으로 여겨지는 변종, 아니 하이브리드 모델로 이해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충돌이 발생하는 셈이다. 어쩌면 산업적 충돌은 나중의 문제일 수 있다.
공유경제의 운명, 특허에 달렸다?
우버의 운명을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많다. 에어비앤의 운명을 궁금해하는 사람들도 많다. 과연 공유경제 기업이 어떻게 될까? 사실 아무도 짐작할 수 없다. 다만 한 가지 단서는 있다. 특허다.
<중략>
성공할 확률이 높다
<중략>
이런 전제로 소프트웨어, 즉 인문학적 비즈니스 모델의 확장성을 공유경제의 개념에서 살펴보자. 특히 우버. 우버와 서울시의 갈등은 산업적 패러다임의 충돌은 물론 정부 고유의 권리와 관련된 첨예한 논란의 불씨를 가지고 있다.
에어비앤비가 국내에서 성업을 해도 별다른 처벌을 받지 않는 것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에어비앤비는 숙박을 공유하는 주체가 '직업'으로 삼고 있는가를 명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운 반면, 우버는 너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결국 이해당사자의 성격이 다르다는 뜻이며, 표면적으로 자동차를 운행하는 우버가 훨씬 민감하게 정부의 심기를 건든다는 점을 뜻한다. 게다가 에어비앤비는 기존 숙박업자도 다수 참가하며, 그 경계가 모호하다. 우버도 기존 사업자와 일반기사가 공존하지만, 서비스 자체가 다르다.
결론적으로 공유경제 기업의 파열음은 이해당사자가 누구인지, 어떤 부분이 정부와 충돌하는지가 관건이다. 이는 역설적으로 이 부분만 해결되면 산업적 충돌은 간단하게 풀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 의미에서 우버가 최근 보도자료를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 부분은 영악한 대응이었다. 정부는 실제여부와는 별개로 일자리 창출이라는 슬로건을 참 좋아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비즈니스 모델의 다변화다. 소프트웨어 특허의 경계가 사라지는 순간, 우버는 변화무쌍한 변신을 통해 타협을 시도할 여지가 높아진다. 소프트웨어 특허의 경계가 사라지는 상황에서 굳이 일반인 기사를 고집할 필요도 없고, 전혀 다른 관점의 '경제에 방점찍힌 공유경제'를 시도할 수도 있다. 무인자동차 서비스와 택배 서비스도 비슷한 연장선상이다. 구글과 우버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이 새삼 흥미로운 순간이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점은 현재의 공유경제 기업들이 경제적 불평등에서 기인했을 가능성이 높은 온디멘드 모델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필연적으로 현재의 고통을 새로운 고통으로 환치시킬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소프트웨어의 자유로운 이용도가 가능해지는 순간 공유경제는 탄력을 받고 다양한 가능성을 가질 것이다.
사실 그렇지 않아도 상관없다. 공유경제는 O2O의 성격이 강하며,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조합해 모호한 비즈니스 모델을 스스로 체화시킬 가능성이 높다. 조십스럽게 공유경제 기업의 성공을 높게 평가하는 이유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유경제 기업 '우버’ 한국서 영업 중단 … 우리에겐 아직도 낯선 공유경제 (0) | 2015.03.30 |
---|---|
우버 등 공유경제, 창조경제 핵심으로 키우려면 법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0) | 2015.03.27 |
중국 중관촌 창업대가의 창업 생태계와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혁신센터’ (0) | 2015.03.26 |
공유경제 대처 '극과 극'...'우버'는 안 되고 '에어비앤비'는 된다 (0) | 2015.03.25 |
유엔, '100만 여성기사 창출' 공유경제 기업 '우버'와 파트너십 철회 (0) | 2015.03.24 |